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1024

지금보다 조금 더 자유롭게 살고 싶다 지금보다 조금 더 자유롭게 살고 싶다- 바로 지금이 철학할 때 나는 '철학'이 인간사에 가장 밀접한 실용학문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보고 듣고 겪는 일들 중에서 사유하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그렇게 하지 못할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물론 매번 그렇게 '사유'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사는 것이 팍팍해질수록 저마다 '철학적 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사는 것이 어렵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이다. 잘 돌아가는 '삶'에서는 의문이 생기지 않는다. 문제는 아무 의문없이 지속되는 삶이 인간에게는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사람으로 태어났다면 필연적으로 겪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희로애락'이 그렇고, '생로병사'가 그렇다. 삶의 각 국면들마다 기가막힌 '어려움' 한 둘쯤은 늘 있게 마련.. 2020. 5. 20.
[내인생의주역] 낯선 삶으로의 여행 낯선 삶으로의 여행 火山旅 ䷷ 旅 小亨 旅貞 吉. 初六 旅 斯其所取災. 六二 旅卽次 懷其資 得童僕貞. 九三 旅焚其次 喪其童僕貞 厲. 九四 旅于處 得其資斧 我心 不快. 六五 射雉一矢亡 終以譽命. 上九 鳥焚其巢 旅人 先笑後號 喪牛于易 凶. 얼마 전, 감이당 식사당번을 하면서 막간을 이용해 장금샘이 ‘별자리’를 봐줬다. ‘별자리’로 나를 해석해보는 게 처음이라 흥미로웠다. 장금샘의 설명에 의하면 나는 처녀자리와 양자리에 기운이 몰려있는데, 처녀자리의 세가 압도적으로 강했다. 처녀자리의 특성은 봉사와 헌신을 좋아한다. 특히 ‘내 것’이라고 생각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능력을 발휘하며 빈틈없이 관리를 한다는 거다. 이 얘기를 듣는 순간 ‘나는 왜 이렇게 기운이 치우쳐 있을까’, ‘그래서 지금껏 내 것만 챙기.. 2020. 5. 19.
[나의삶과천개의고원] ‘보험’,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인가 ‘보험’,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인가 ‘하면 된다’라는 영화가 있다. 사업실패로 하루아침에 판자촌으로 쫓겨 가는 병환네 가족은 우연한 사고로 ‘보험’의 혜택을 받게 된다. 그 후, 그의 가족 네 명은 많은 보험에 가입하고, 자신들의 신체를 일부러 훼손하여 수십억의 보험금을 챙기는 ‘가족 보험 사기단’이 된다. 결국 그들은 보험금 때문에 서로의 목숨까지 노리게 되는데… 범행을 계획한 병환의 아들은 여행 도중 일부러 강에 차를 던진다. 그 결과 자신만 살고 가족은 모두 익사하게 된다. 가족들의 생명 보험금을 탈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오지만, 보험금을 노리는 친척들이 등장하면서 영화는 끝이 난다. 보험금에 눈이 멀어 가족까지 죽이다니… 코믹영화지만 실상은 너무나 끔찍하다. 보험이란 불의의 사고나 질병에 .. 2020. 5. 13.
[쿠바리포트] 말 너머의 세계(2) - 코로나바이러스, 할 말을 잃게 만드는 놈 말 너머의 세계(2)- 코로나바이러스, 할 말을 잃게 만드는 놈 바이러스는 어디 안 간다 누구는 이렇게 말한다. 과학 기술만 믿고 오만방자해진 인간에게 자연이 코로나를 통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또, 반대로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유행 따라 돌아오는 자연스러운 감기의 일종이며, 높지 않은 사망률 4% 앞에서 우리만 괜히 패닉하는 거라고.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를 감기로 협소하게 정의한다 하더라도 그로 인한 배고픔과 죽음의 고립은 감기로 소급되지 않는다. (이것을 단순한 유행병이라고 서슴없이 말할 여유가 있는 사람은 이미 소수다. ‘죽음다운 죽음’을 보장할 의료체계와 충분한 식량을 보유한 공동체가 지구상에 소수이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가 정말 자연의 메시지라 하더라도, 그래서 .. 2020.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