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1024

티렉스, [Electric Warrior] - 들어본 적 없는 리듬, 걷기에 딱 좋은 리듬 티렉스, [Electric Warrior]- 들어본 적 없는 리듬, 걷기에 딱 좋은 리듬 우라사와 나오키의 만화 『20세기 소년』의 제목 '20세기 소년'은 아시는 바와 같이 노래 제목이다. '20th century boy'라는 노래인데, 이 노래는 생각건대, 원곡보다 X-Japan이 부른 리메이크 버전이 한국에서 더 유명한 듯 하다. 그럼 원곡은 누구의 곡이냐, 오늘 소개할 티렉스의 곡이다. 만화가 자신이 '기타 연주'와 '밴드'에 도전하는 스토리를 그린 '논픽션'(?) 만화 『스트라토』에 따르면, 우라사와 나오키는 직접 밴드도 하는 등, 만화가들 중에서는 기타를 잘 치는 것으로 소문난 실력자라고 한다. 『20세기 소년』만 보더라도 '록덕후'들의 정서를 자극할 만한 코드들이 잔뜩 들어 있다. 우드스탁 .. 2020. 10. 16.
[나의삶과 천의 고원] 루쉰과 여행, 그리고 ‘전쟁기계’ 루쉰과 여행, 그리고 ‘전쟁기계’ 그렇다. 신체의 해부보다 중요한 건 정신의 해부다. 중국인은 지금 정신의 고질병을 앓고 있는 것이다. 이런 중국인에게 시급한 것은 이 비참과 비겁에 대한 자각이다. 혁명은 다수를 만족시키는 공리(公利)가 아니라, 한 사람 한 사람의 통절한 자각에서 비롯된다는 것. 그 자각을 촉구할 수 있는 무기는 ‘글’ 밖에 없다는 것. (채운, 「구경꾼으로 머물 것인가, 혁명적으로 살 것인가」, 『루쉰, 길 없는 대지』, 2017, 북드라망, 68쪽) 20세기 중국을 대표하는 작가 루쉰은 일본 센다이에서 의학 생활을 하던 중 ‘환등기 사건’을 겪게 된다. 환등기 안에서는 중국인 한 명이 러시아의 정탐 노릇을 하다가 일본군에게 총살을 당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그 중국인을 빙 둘러서 구경.. 2020. 10. 13.
[동화인류학] 대칭성의 회복을 위하여 「충성스런 요하네스」와 「장화신은 고양이」 대칭성의 회복을 위하여「충성스런 요하네스」와 「장화신은 고양이」 자유가 아니라 이해다 코로나는 2차 대 유행을 맞고 있다. 2주간의 방학이 끝나고 전일 등교할 수 있는 기대를 갖고 있었는데 다시 매주 일일 등교라는 원격수업의 2학기가 시작되었다. 정말이지 큰일이다. 코로나가 잠잠한 뒤로 장장 50여일을 넘는 장마가 전국을 강타했고, 이 글을 쓰는 지금은 태풍 바비가 시간당 30-50mm의 순간풍속 최대 60m의 강풍을 몰고 북상중이다. 눈뜨면 학교나 직장에 가고 사람들과 카페나 식당에서 놀고 일하던 시절이 언제쯤이었을까 싶을 정도로 일상으로의 복귀는 요원해 보인다. 정말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와 기후 위기의 증상들을 앓고 있다. 고통과 두려움이 그 발걸음을 멈출 줄 모른다.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2020. 10. 12.
[인문약방] 슬픔의 치료제를 찾는 사람들 슬픔의 치료제를 찾는 사람들 가끔 지인들이 정신과 치료나 약에 대해 물어온다. 어떤 경우는 꾸준히 정신과 약을 먹어야 한다는 판단이 섰고, 어떤 경우는 정신과 약 복용이 너무 섣불러서 심리상담을 권유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치료나 약 복용이 불필요하다고 느꼈다. 이런 조언을 하지만 종합병원을 그만두고 나서는 나도 정신과 질환의 처방을 조제할 기회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정신과 처방의 경우 의약분업 예외라서 병원에서 조제해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정신과 처방이 아니더라도 향정신성 의약품이나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은 빈번히 취급한다.) 약국에서 정신과 처방을 보는 횟수가 줄어들었지만 사람들이 정신적 문제를 약 복용으로 해결하려는 경향은 늘었다. 그도 그럴게 요사이 정신 질환에 .. 2020.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