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1024

[연암을 만나다]벗에게서 온 편지 벗에게서 온 편지 홍대용은 이역만리에 있는 천애의 지기(知己)들하고만 절절한 편지를 주고받은 게 아니었나 보다.(자세한 내용은 ‘지기와의 이별’편에!) 조선 안에서도 홍대용의 편지를 애타게 기다리는 사람이 있었다. 바로 얼어붙은 비탈과 눈 쌓인 골짜기, 연암골에서 지내고 계시는 연암이다. 아무리 멀어도 조선이라 청나라보다는 훨씬 가까운 거리에 있었지만, 서로 오고가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였다. 연암은 홍국영의 화를 피해 개성 연암골로 들어가고, 홍대용은 전라도 태인 군수로 지내서, 3년이 되도록 서로 만나지도 못했기 때문이다. 연암은 홍대용에게 얼굴도 어찌 변했을지 무척 궁금하지만 자신의 얼굴을 미루어 짐작한다며, 편지로 특이한 안부를 묻는다. ‘형은 스스로 점검하기에 정력과 기개가 어떠하신지요?’ 당시 .. 2020. 9. 24.
[동화인류학] 그들은 왜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게 되었나? 그들은 오래오래 - 그들은 왜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게 되었나? 행복의 조건 “행복은 뭘까?” 조카 연하가 말한다, “인류가 좋게 생각하는 거요. 특히 어린이가 기뻐하는 거요.” 둥순이가 말한다, “사람들이 기쁘고 서로서로 배려하는 것.” 둥자가 말한다. “사람들이 기뻐서 폴짝폴짝 뛸 만큼 좋은 거요.” 승환이가 말한다. “좋아하는 것을 갖게 되고, 원하는 곳에 가게 되는 거요.” 행복이란 뭘까? 행복은 기쁨과 동의어다. 그럼, 기쁨은 뭘까? 연하는 4학년. 벌써 ‘인류’를 걱정한다. 기쁨은 나 하나의 것이 아니라 인류의 것. 그리고 그 인류를 대표하는 얼굴은 어린이다. 그리고 둥순이와 둥자는 알고 있다. 기쁨은 형용사가 아니라 동사라는 것. 기쁘기 위해 우리는 서로를 배려해야 하고, 온몸으로 그것을 표현.. 2020. 9. 21.
[연암을만나다] 지기(知己)와의 이별 지기(知己)와의 이별 “이 한 번 이별로 그만이구려! 저승에서 서로 만나도 부끄러움이 없이 살기를 맹세합시다.”- 박지원,「홍덕보 묘지명」, 『연암집(상)』8, 돌배게, 342쪽 연암의 벗이었던 홍대용의 죽음을 기리는 묘지명에 나온 한 대목이다. 홍대용이 북경여행을 떠났던 시절, 중국친구들과 헤어지며 서로를 바라보며 했던 말. 우리가 언제 다시 만날지 알 수는 없지만, 그때까지 부끄럽게 살지 말자. 서로의 삶에 이정도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관계라! 찰나의 만남이, 살아갈 날들을 다짐하는 강렬한 순간이 되다니!! 서장관인 숙부 홍억洪檍을 따라간 북경. 홍대용은 그곳에서 천애의 지기(知己)들을 만난다. 과거를 보러 절강에서 올라온 엄성과 반정균, 뒤이어 도착한 육비, 그리고 홍대용. 이들을 유리창에서 만나.. 2020. 9. 17.
[나의삶과천개의고원] ‘술[酒]’이 만들어낸 ‘리트로넬로’ ‘술[酒]’이 만들어낸 ‘리트로넬로’ 천관웅 : 내가 회사생활 하면서 가장 좋았던 게 뭔 줄 알아?장그래 : 글쎄요….천관웅 : 술을 배운 거. 외로운 거 이놈한테 풀고, 힘든 거 이거 마시며 넘어가고, 싫은 놈한테 굽실거릴 수 있었던 것도 다 이 술 때문이지. 근데 가장 후회하는 것도 술을 배운 거지. 일상이라는 걸 즐겨본 적이 없는 거 같아. 심심한 걸 즐겨본 적도, 한가한 걸 누려본 적도.장그래 : 천천히 드십시오.천관웅 : 술. 즐겁게 마셔. 독이 된다고. 수승화강(水升火降)! 차가움은 올리고, 뜨거움은 내려라. 머리는 차갑게! 가슴은 뜨겁게! 술은 열을 올리거든.– 드라마 ‘미생’ 中 – 어둠을 밝히는 노래, ‘술[酒]’ 고등학교 3학년 때, 아버지에게 처음 술을 배웠다. 그 후 뜻(?)이 맞는.. 202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