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796

아트 슈피겔만, 『쥐』- 1940년, 폴란드 남쪽의 기억 1940년, 폴란드 남쪽의 기억아트 슈피겔만, 『쥐』 1. 계절이 바뀌어 겨울이 되었고 수업도 그 해의 마지막 시즌을 시작하게 되었다. 주제는 이미 정해져 있었다. 세상.봄에는 ‘학교’였다. 여름에는 ‘집’이었다. 가을에는 ‘마을’을 하고, 겨울에는 ‘세상’. 처음부터 그렇게 네 가지 주제를 정하고 그 해의 수업을 시작했다. 아이들에게 가장 익숙한 공간, 익숙한 관계에서부터 시작하기로 했다. 깨어있는 동안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이 ‘학교’라고 생각했기에 집보다도 학교를 먼저 놓았다. 익숙하다 여길 테지만 실은 턱없이 낯설 ‘집’이 두 번째였다. 늘 거닐면서도 지각 밖에 있을 ‘마을’은 그 다음이었다. ‘세상’은 마지막이었다. 앞의 주제들을 다룰 때에도 마찬가지였지만 이 시즌을 시작할 때에도 나는 어.. 2019. 6. 18.
[아이가 왔다] 공룡이 나타났다 공룡이 나타났다 여기는 중생대 백악기 어느 대륙도 아니다. 그렇다고 쥬라기 파크도 아니다. 이곳은 '삼X공룡X마파크'라는 곳으로, 몇가지 거대한 공룡 모형과 도무지 의도와 목적을 알 수 없는 로봇, 원시인, 오리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입장료가 9천원인데(25개월 미만은 무료...였던가...) 어른의 눈으로 보자면 도대체 어째서 그 정도의 가격인지 납득이 안 간다. 말하자면 가성비가 몹시 떨어진다는 느낌이다. 그러나, 26개월짜리의 세계관 속에서 이곳은 그야말로 박진감 넘치는 모험의 세계였던 듯. 신이 나서 염소, 토끼, 오리를 관람하다가, 집에도 있는 말타기 인형도 타고, 공룡이 살아 숨쉬는 대지를 이리저리, 소리를 지르며 뛰어다닌다. 사실 나는 수차례 밝혔듯, 이런 곳에 다니는 걸, 아니 주말에 .. 2019. 6. 14.
그러므로 사람들은 다시 마을을 말한다 (2) 장성익, 『내 이름은 공동체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다시 마을을 말한다 (2)장성익, 『내 이름은 공동체입니다』 필자의 말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1. 그날따라 아침부터 부산했다. 무심코 평소 시간대로 오는 아이들이 없도록 전화도 해야 했고, 미리 언질을 한 마을 장터 운영진과도 재차 연락해 일정을 확인해야 했다. 안에서 수업하는 것에 비해 여러.. 2019. 6. 11.
[소세키의 질문들]『산시로』- 청춘풍속도 누가 청춘에게 길을 말해줄까? 『산시로』 - 청춘풍속도누가 청춘에게 길을 말해줄까? 배짱이 생기는 약으로 될까? “너는 어렸을 때부터 배짱이 없어서 못쓴다. 배짱이 없는 것은 손해막심이라 시험을 볼 때와 같은 경 우에는 얼마나 곤란한지 모른다. (중략) 너는 부들부들 떨 정도는 아닌 것 같으니 도쿄의 의사에게 배짱이 좋아지는 약을 지어달라고 해서 평소에도 가지고 다니며 먹어라. 낫지 않을 리 없을 것이다.” - 나쓰메 소세키, 『산시로』, 송태욱 옮김, 현암사, 2017년, 210쪽 시골에 사는 어머니가 대도시로 공부하러 간 아들에게 쓴 편지의 한 대목이다. 어머니는 성격이 소심한 아들을 생각하면 물가에 내 놓은 아이처럼 염려스럽다. 도쿄에는 분명히 ‘배짱이 좋아지는 약’이 있을 테니 처방받아서 먹으라고 충고한다. 슬그머니 웃음이 번.. 2019. 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