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1024

[북드라망리뷰대회 당선작] 품음, 흥보의 생존법 (링크)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습니다! 당선(링크)되신 분들께 다시 한번 축하의 말씀을 전합니다. ^^ 이제 오늘부터 리뷰대회 당선작들을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1위 남다영님의 글부터 시작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품음, 흥보의 생존법 - 1등 남다영 흥보는 능하고 놀보는 몰랐던 것 나는 가진 것도 별로 없으면서 내가 누리고 있는 것들을 언젠가 잃게 될까봐 두렵다. 월세 높기로 유명한 서울에서 자취를 하고, 알바로 한 달 벌어 한 달 살고, 요가를 하고 세미나를 하며 일주일을 보내고 있는데, ‘이렇게 살다가 미래에 땡전 한 푼 없으면 어쩌나’라는 생각이 든다. 전문 기술도, 경력도 없는데다 정규직은 어차피 안 될 거라는 체념이 뒤섞여 미래에 대한 불안이 불쑥불쑥 올라온다. 이제는 이.. 2021. 11. 22.
[헤테로토피아] 마네, 푸코를 정치화하는 동행자 마네, 푸코를 정치화하는 동행자 마네, 회화를 낯설게 만들다 프랑스에서 철학과 지적 문제는 언제나 정치적 상황과 함께 맞물리며 돌아갔다. 푸코도 1950년 공산당원이 되었다. 그러나 학교 다니는 동안 푸코는 아무런 정치적 참여를 하지 않았다. 더군다나 한 해 만에 공산당을 탈당하는데, 그 이후 모든 사람이 그는 반공주의자였다고 말했다. 자신이 몸담은 클레르몽페랑 대학에 들뢰즈를 교수로 추천했다가, 로제 가로디라는 공산당 이론가에게 자리를 넘겨주게 되자, 그를 야유와 저주로 못살게 굴어 내쫓기도 한다. 이 말이 맞든 틀리든, 그는 한동안 공산주의자에 대해서 그다지 우호적이진 않았던 것 같다. 공전의 히트를 한 『말과 사물』이 나오고, 그 책이 사르트르 진영의 대대적인 공세에 직면하기도 한다. 그러나 『말과.. 2021. 11. 19.
[共生모색야생여행기] 문자를 거절하는 사회 문자를 거절하는 사회 남비콰라족, 길들여지지 않은 사고의 보고 열대의 가장 깊은 곳, 남비콰라족 방문은 인류학자로서 본격적인 발걸음을 내딛은 레비 스트로스에게 두 가지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첫째 지난 화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레비 스트로스는 ‘열대인’으로서 자신을 자각합니다. 아마존 원주민들처럼 숲이라고 하는 광대무변한 자연의 힘을 맨몸(남비콰라족의 맨몸)으로 겪어야 하는 인류의 숙명에 유럽인인 그 자신도 예외일 수 없음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인류학자로서 이 열대를 떠난 뒤에 자신이 어떤 일을 해나가야 할지를 결정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그것은 신화학 연구입니다. 레비 스트로스는 남비콰라족 마을에서 체류하면서 인류의 야생적 사고 방식을 탐구할 결심을 하게 됩니다. 이때의 ‘야생’이란 문명.. 2021. 11. 10.
[만드는사람입니다] 괴담이 가득한 세상에서 괴담이 가득한 세상에서 목공소 괴담 목공소에 취직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무렵, 급한 주문이 있어 밤늦게까지 목공소에 남아있던 날. 목수님은 먼저 퇴근하셨고, 나도 퇴근을 위해 정리를 하던 중이었다. 동네는 조용했고, 방금 전까지 들리던 테이블 톱의 소음이 사라진 탓에 목공소는 더 고요하게 느껴졌다. 기계들과 쌓여있는 나무들이 왠지 으스스하게 느껴지던 순간, 갑자기 목공소 한쪽에서 엄청나게 큰 굉음이 들려왔다. “꽝!” “으악!” 난 손에 들고 있던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내팽겨 치고 일단 목공소 밖으로 뛰쳐나갔다. 주위를 둘러봤지만 아무도 없었다. ‘무슨 소리지…?’ 숨을 고르고 마음을 진정시킨 뒤 천천히 문을 열고 목공소에 들어섰다. 목공소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고요했다. 불을 켜고 소리가 난 장소로 .. 2021.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