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1024 아빠가 되었다, 다른 삶이 주어졌다 아빠가 되었다, 다른 삶이 주어졌다 아빠가 된다는 건, 어떻게 되는 건가? 나에게 그것은, 거의 다시 태어나는 정도의 변화였다. 그러니까 지금까지 살아온 방식 전반을 갈아엎지 않으면 안 되는 그런 일이었다. 그것은 존재가 전혀 다른 장(場)에 놓이는 일이다. 예전에는, 아빠가 되기 전에는 ‘아이를 낳아 길러보아야 진짜 어른이 된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절로 콧방귀(흥!)가 나오곤 했다. 그 이야기는 마치 ‘공부엔 다 때가 있다’는 말처럼 옳기만 할 뿐 여전히 젊(다고 믿고 있)은(는) ‘나에겐’ 아무 의미가 없는 말이었다. 공부에 ‘때’를 놓쳐봐야 정말로 공부에 ‘때’가 있‘었’음을 알 수 있듯, 진짜 부모가 되어 봐야 정말 ‘어른’이 된다는 게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는 법이다. 나의 경우엔 ‘어른’이 되.. 2018. 11. 16. 열정과 개척의 별자리, 양자리 열정과 개척의 별자리, 양자리 주위에 어린아이처럼 천진난만한 얼굴로 남의 눈치 보지 않고 솔직하게 자기주장을 하는 사람이 있나요? 또는 언제나 호기심에 가득 차서 새로운 일을 과감하게 시작하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렇다면 그가 바로 양자리일 확률이 높습니다.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낮의 길이가 더 긴 6개월이 시작하는 춘분(양력 3월 21일 무렵)부터 곡우(양력 4월 21일 무렵) 전날까지 태어난 사람들이 양자리입니다. 태양이 양자리에 있을 때 태어났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이 시기에 농부들은 파종을 하고, 꽃들은 피어납니다. 사람들은 겨울옷을 벗고 봄옷으로 갈아입습니다. 음기가 물러나고 양기가 지배하기 시작하는 시간, 새로운 탄생과 시작의 시간, 양자리는 이 에너지를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그래서 양자리가.. 2018. 11. 12. 그...그만... 이제 그만 "그...그만... 이제 그만" 딸과 나는 온몸을 이용해서 논다. 요즘 부쩍 자주하는 놀이는 딸을 업고 등으로 한번씩 통통 튀겨주는 놀이인데, 통통 흔들릴 때마다 아주 자지러지게 웃는다. 다만 이 놀이를 얼마만큼 해야하느냐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딸과 아빠의 감각이 다르다. 아주 많이 다르다. 놀이를 시작할 때 아빠의 마음은 '이렇게라도 딸의 주의를 좀 돌려놔야지'이다. 그래서 딱 재미있을 정도, 그러니까 열번 정도면 충분하다 생각한다. 그 정도 하고선 바닥에 딸을 내려놓으려고 하는데, 그럴 때마다 우리 딸은 아빠의 등에 찰싹 달라붙어서 떨어지질 않는다. 그러니까 딸의 감각으로는 이 놀이를 삼사십번쯤은 더 해야 하는 것이다. 아빠의 등과 허리는 어떻게 되든 말든...ㅠ 물론 그때마다 아빠는 절로 '그..끄.. 2018. 11. 9. 무지라는 ‘평등’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무지라는 ‘평등’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필자의 말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0. ‘학교’를 다루었던 봄 시즌을 마칠 즈음 나는 그간 던진 질문들을 되돌아보았다. “선생은 어떻게 아이들과 만나야 하는가.” “학교는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아이들은 학교를 왜 가는가.” 새삼 아이들이 얼마나 당혹스러.. 2018. 11. 6. 이전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 2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