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1276

‘지혜와 자비’로 향하는 길, 여러분들을 고미숙 선생님 신작 『청년 붓다』 시독회에 초대합니다!! ‘지혜와 자비’로 향하는 길, 여러분들을 고미숙 선생님 신작 『청년 붓다』 시독회에 초대합니다!! 일자 및 시간 : 2022년 6월 21일 화요일 오후 1시 장소 : 온라인 ZOOM 모집 인원 : 15명(선착순) 참여 방법 : 블로그(이 게시물)에 비밀 댓글로 신청. 신청 시 『청년 붓다』의 한 챕터를 프린트해서 보내드립니다. 그 프린트물을 우편으로 받아보실 주소와 성함, 전화번호를 꼭 적어주세요. 남겨 주신 전화번호로 시독회 줌(ZOOM) 링크 또한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 신청 마감 : 6월 15일 수요일 오전 12시까지. (15일 오후에 우편으로 『청년 붓다』 프린트물을 발송해 드립니다.) 시사회만 있나요? 여기, ‘시독회’도 있습니다! 6월 21일 화요일 오후 1시, 북드라망 최초로 『청년 붓다』.. 2022. 5. 30.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나의 처방약은 ‘연대’ 나의 처방약은 ‘연대’ 3등_박현정 “행복해지는 약 주세요.” “여기 있습니다.” 『인문약방』이라는 제목에 호기심이 생겨 약방문을 두드려보았다. 이 약 복용법은 책 속에 있는데 사람마다 복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시중에서 파는 ‘한 알’ 만병통치약처럼 효과 빠른 약제를 알려주지는 않았다. 대신 느린 약방이다. 『인문약방』은 현직 약사가 들려주는 병과 삶, 앎에 관한 이야기책이다. 『인문약방』 제목처럼 사람(人)과 공부(文)에 관한 처방전이 많았다. 현대인의 병증 치료제로 ‘약을 대신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도 커져갔다. 나는 요즘 주변 사람들에게서 걱정스럽게 듣는 말이 있다. 행복해 보이지 않다는 거다. 그래서 상담을 권유받아 심리상담도 받았다. 그러나 그 때 뿐이었다. 연말 연초를 지.. 2022. 5. 27.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앓다’에서 몸과 마음의 ‘만남’으로 ‘앓다’에서 몸과 마음의 ‘만남’으로 3등 - 탁금란 『아파서 살았다』는 ‘류머티즘과 함께한 40년의 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제목만 보면 오창희 작가의 투병기로 착각할 만하다. 5부로 구성된 목차를 봐도 대학 2학년 스물한 살 봄에 류머티즘을 앓기 시작해서 명약을 찾아다니는 10년의 투병 생활, 인공관절 수술 후 병과의 동행을 인정한 10년의 삶, 그리고 자립을 위한 좌충우돌의 10년, 몸의 주인으로 거듭나는 10년을 보내고 있는 작가의 삶을 보여준다. 40년 동안 류머티즘과 고군분투한 저자의 삶이 무겁게 다가올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책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작가의 삶에 동반 출연한 어머니, 아버지, 형제들, 조카들, 외육촌 언니까지 확장되는 대가족의 서사가 있고, 작가를 건강한 삶의 주인.. 2022. 5. 26.
『중년을 위한 명심보감』 옮긴이 서면 인터뷰 『중년을 위한 명심보감』 옮긴이 서면 인터뷰 1. 『명심보감』은 보통 ‘어린이의 학습을 위한 한문교양서’로 많이 불립니다. 이런 『명심보감』을 중년에 읽어야 할 책으로 생각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명심보감』은 한자 자체가 어렵지 않기 때문에 예전에는 어린아이들이 읽었던 책이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거기에 담긴 내용이 꼭 어린아이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어떤 내용들은 여러 가지 인생 경험이 있는 어른들이 이해하기 적합한 것들도 적지 않습니다. 저 자신이 어느덧 중년의 나이가 되었습니다. 중년이란 나이는 몸의 쇠함을 경미하게 느끼는 동시에 의지의 쇠함도 함께 경험하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중년은 인생이 제 뜻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게 되고, 인간관계도 영원히 하지 않고 유효기간이 있다.. 2022.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