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1276

몸 공부의 계기가 될 동의보감 입문서, 『명랑인생 건강교본』 몸 공부의 계기가 될 동의보감 입문서, 『명랑인생 건강교본』 북에디터스쿨 2기 김유석 건강정보들이 넘쳐나는 세상이다. 하지만 인터넷 어느 블로그에서, TV 아침 프로에서, 누구누구의 입소문에 따르면 이렇게 이렇게 하면 좋다더라는 식의 정보들을 아무 생각없이 따라한다고 해서 과연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을까? 나아가 건강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평생 아프지 않은 것이 건강하다는 걸까? (프롤로그 11~12쪽) 몸을 아는 것이란 무엇일까? 건강이란 무엇일까? 「동의보감 매일매일 실전편」이라는 부제를 단 『명랑인생 건강교본』은 『동의보감』에 대한 전문적인 주석 또는 해설서가 아니며, 단순히 건강정보를 모아 놓은 책 또한 아니다. 이 책의 저자는 와 에서 진행한 『동의보감』 세미나의 결과물로서 펴낸 이 책을 ’몸을.. 2022. 7. 14.
[이벤트☆] 북드라망의 10번째 생일을 축하해 주세요~! [이벤트☆] 북드라망의 10번째 생일을 축하해 주세요~! 안녕하셔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책에 담긴 ‘앎’을 인연의 그물망(net)으로 엮어 세상과 나누는 지혜의 인드라망, 저희 북드라망이 얼마 전, 7월 2일에 10살이 되었답니다.(짝짝짝~!) 흔히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고 하는데... 네, 그렇습니다. ‘10’이라는 숫자는 왠지 큰 의미가 있는 듯합니다. 물론 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매 해가 좀 더 빠르게 다가오는 것 같은 느낌적인 느낌이 드는데요, 그런데도 뭔가 나이의 앞자리 수가 바뀐다거나 1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고 하면, 순간 눈이 번쩍 뜨이는 무언가가 있는 듯합니다. 북드라망이 독자분들과 만난 시간도 그렇습니다. 1년, 2년, 3년, 4년, 5년... 차곡차곡 출간한 책들과 독자 모임.. 2022. 7. 11.
곰수보살이 전하는 지혜의 파동과 자비의 리듬 곰수보살이 전하는 지혜의 파동과 자비의 리듬 이윤지(고전 비평공간 규문) 두 개의 고백 『청년 붓다』는 저자 곰샘(고미숙 선생님을 연구실에서는 이렇게 부른다)의 고백으로 시작된다. 당신은 불교 신자도 아니고 불교를 연구한 학자도 아닌데 불교 평전을 쓰신다고. 이게 가능할까? 라는 자의식이 종종 올라왔지만 그런 자문을 했을 때 이미 글을 쓰고 계셨고 쓰기 시작한 다음에야 멈출 도리가 없으셨다고. 이 부분이 마음에 턱 와서 걸렸다. 글을 쓴다는 것은 세상과 나눈다는 것이고, 내가 마주친 사유와 지혜를 내게만 머물게 하는 게 아니라 흘러가게 한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곰샘은 불교와의 소중하고 신선했던 마주침을 어떻게든 세상에 알리고 싶으셨던 것이다. 이 구절을 보며 나는 자신이 부끄러웠다. 나라면 자의식에 붙들.. 2022. 7. 8.
인간 붓다를 만나다 인간 붓다를 만나다 원자연(남산강학원) 2018년에 초기불경 세미나에서 붓다를 만났다. 업과 윤회, 고집멸도 등 모르는 말투성이였지만, 가~끔 마음속에 박히는 말이 있었다. 이를테면 ‘두번째 화살을 맞지 말라’, ‘뗏목에 의지하여 가되 강을 건너기 위한 것임을 잊지 말라’는 말씀이었다. 부처님은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자기 스스로를 괴롭히는지를 보게 하고, 가르침을 믿고 가되 배웠으면 그것을 놓아야 한다는 것을 말씀해주셨다. 너무도 적확한 비유에 놀라고 그 뜻에 또 한 번 감탄했다. 그렇게 나는 붓다를 믿고 따르게 되었다. 하지만 이 경험은 과거형이다. 요즘 불경을 접할 때면 어렵고 답답하기만 하다. 탐욕‧집착‧갈애 등을 여의고 깨달음의 길을 간 수행승을 볼 때면, 대단하지만 나는 못 할 것 같다는 생각이.. 2022.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