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드라망1275 낭송Q 미니강의 서백호 - 분명하게 맺고 끊기 위한 금(金)기운 습득 프로젝트! 『낭송 흥보전』, 『낭송 손자병법/오자병법』, 『낭송 동의보감 잡병편(1)』초/초/초단기 정복!! 밤과 낮의 길이가, 추위와 더위가 같아지는 춘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곧 청명입니다. 이제 꽃도 제법 필테고,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기운도 덜해져 진짜 이게 봄인가-싶겠지요. 왜 이렇게 봄타령을 하느냐면...^ㅁ^ 이제 곧 청명이 되면 낭송Q시리즈 북현무편이 출간되기 때문입니다!! 우와아아아~ 이제 낭송Q시리즈 완간입니다!! 네네, 이제 북현무편 출간 = 낭송Q시리즈 완간에 앞서(아, 이런 자꾸 눈물이...) 서백호편을 다시 짚고 지나가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ㅁ^ 지난 2월 7일, 서백호 출간과 과 의 리모델링을 축하하는 오픈하우스파티 때 진행되었던 미니강의를 공개합니다. 빠밤! (혹 '파티~'가 .. 2015. 3. 31. 식물을 키우는 것과 공부하는 것의 공통점 "여유있게 젖어들어 도에 이르기까지" 기다리기... 힘들어요? 배우는 사람은 반드시 이 마음을 지켜야하니 조급해 하지 말고, 깊고 두텁게 심고 길러야[栽培]하네. ‘심는다[栽]는 것’은 단지 여기에 어떤 것을 심는 것과 같아 함양하고 지키고 공부가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을 ‘깊고 두텁게 기른다’고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가운데 여유 있게 젖어든다면 점점 스며들어 얻는 것이 있다네. 진실로 조급하게 효과를 구한다면 단지 사사로운 마음에 그칠 것이니, 끝내 여유 있게 젖어들어 도에 이르지 못할 것이야. - 주희 씀, 이영희 풀어 읽음,『낭송 주자어류』119쪽 지난 주말에 날씨가 너무 좋아서 집안 대청소를 했습니다. 집안 이곳저곳과 현관을 청소하며 방치해둔 빈 화분들을 정리하면서 제가 얼마나 많은 식물들을 .. 2015. 3. 30. 정착~! 이타카 하우스 개장 & 첫 번째 파티 이타카 하우스, 첫 출발 이민의 도시, 뉴욕. 파도처럼 꾸역꾸역 밀려오는 이민의 풍경은 흔히 ‘뉴욕의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재포장되어 뉴욕이라는 도시를 아름답게 모자이크하는 데 이용되곤 한다. 그러나 다양성이라는 단어는 이 사람들이 이 바닥에서 어떻게 섞여 살아가는지는 말해주지 않는다. 그렇다, 사실 이주는 뉴욕에 와도 끝나지 않는다. 근 일 년간 내가 발로 뛰면서 보러 다닌 집만 30여 개, 이사 횟수는 3번, 내 짐은 처음보다 3배 이상 늘었다. 내 친구들 중에서 내가 유별나게 이사를 자주 했던 편도 아니었다. 여기 오래 머물다보면 다들 저절로 이사의 달인이 된다. 뉴욕은 이사의 도시이기도 한 것이다. 이사 전쟁 이 높은 이사 빈도는 뉴욕의 열악한 주거환경과 무관하지 않다. 모두가 알다시피 뉴욕 세.. 2015. 3. 27. 어긋난 ‘버튼홀스티치’를 완성하려면? – 화택규 화택규, 어긋난 ‘버튼홀스티치’를 완성하려면? 1983년 어느 봄, 나는 시골의 작은 중학교 교실 책상에 앉아 있었다. 흰 무명천을 책상 위에 올려놓고 좋아하는 녹색 실을 바늘에 꿰어 한 땀 한 땀 정성스럽게 바느질을 하고 있었다. 자신이 이것저것 직접 만들어 보는 ‘가사 시간’, 왁자지껄 떠들어대던 소녀들의 감각기관은 일제히 자신이 수놓고 있는 흰 무명천으로 쏠렸다. 선생님은 책상 사이를 천천히 돌아다니면서 소녀들의 손놀림을 지켜보았다. “선생님, 이렇게 하면 돼요?”여기저기서 선생님을 붙잡고 바느질한 천을 들이밀었다. 소녀들은 우르르 몰려가 선생님의 손놀림을 주시했다. 나는 소녀들을 아랑곳하지 않고 육중한 엉덩이 힘을 내리누르며 그대로 앉아 있었다. 흰 무명천에 녹색 실이 꼬물꼬물 형태를 만들어 가는.. 2015. 3. 26. 이전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