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40 딸아, 아빠는 '응'과 '아니' 사이를 왕복할 생각이 없단다 딸아, 아빠는 '응'과 '아니' 사이를 왕복할 생각이 없단다 (단단히 각오해 둬야 할거야) 우리 딸은 요즘, 하루에 서너번쯤 고개를 좌우로 흔들며 ‘아으응’ 한다. 그러니까 ‘그거 하기 싫어요’쯤 되는 의사를 분명하게 표현한다. 처음엔 아빠도 ‘쟤가 왜 저러지’ 했지만, 금방 알아차렸다. 그리고 놀랐다. ‘쟤가 저걸 어디서 배운 거지’ 싶어서다. 엄마도 그렇고, 아빠도 그렇고 ‘싫다’는 의사를 표현할 때 고개를 좌우로 흔드는 경우가 잘 없다. 우리는 거의 말로만 ‘싫어’, ‘아니야’ 따위의 감정을 표현하기 때문이다. 도대체 어떻게 배운 걸까? 처음엔 본능일지도 모르겠다 싶었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게 아니었다. 엄마와 아빠가 대화를 하거나 할 때는 말로 아니고, 싫고 하지만, 우리 딸의 비행(非.. 2018. 6. 15. 한 마음의 사회 한 마음의 사회 대개 회라 하는 것은 각 사람이 한 몸과 같이 한 회를 이름이라. 사람의 몸에 본래 한 회가 있으니 마음은 회장이오,이목구비 수족은 회원인데, 회장의 지휘를 각각 맡은 직무를 일심(一心)으로 하여 사람의 한 몸을 이룸이라.─『독립신문』 1898년 6월 28일 논설 ‘회’의 등장 그렇다면 조선에서의 상황은 어땠을까? 조선에서 역시 메이로쿠샤와 같은 단체로서 사회적인 것이 등장한다. 우리가 잘 아는 독립협회가 그것이었다. 독립협회는 그 협회가 주장하는 내용이나 주의보다, 우선 새로운 ‘회’라는 형식의 등장 자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독립신문』 1898년 6월 28일 논설에는 ‘회’에 대해 연설하는 대목이 등장한다. 내가 회를 가지고 연설을 할 터인데 먼저 회라는 글자를 파자(破字)하여 말.. 2018. 6. 14. 대청소, 한 계절의 습(習)과 결별하는 과정 대청소, 한 계절의 습(習)과 결별하는 과정 宰予晝寢재여주침 子曰 朽木 不可雕也 糞土之墻 不可牆也 於予與 何誅자왈 후목 불가조야 분토지장 불가오야 어여여 하주 子曰 始吾於人也 聽其言而信其行 今吾於人也 聽其言而觀其行 於予與 改是자왈 시오어인야 청기언이신기행 금오어인야 청기언이관기행 어여여 개시 재여(宰予)가 낮잠을 자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거름흙으로 쌓은 담장은 흙손질 할 수가 없다. 내 재여(宰予)에 대하여 꾸짖어 뭐하겠는가?” 또 말씀하셨다. “내가 처음에는 남에 대하여 그의 말을 듣고 그의 행실을 믿었으나, 이제 나는 남에 대하여 그의 말을 듣고 다시 그의 행실을 살펴보게 되었다. 나는 재여(宰予) 때문에 이 버릇을 고치게 되었노라.” - 〈공야장〉 9장 =.. 2018. 6. 12. 이미 이루어졌거나, 결코 이룰 수 없는 '벗어나기' 이미 이루어졌거나, 결코 이룰 수 없는 '벗어나기' 비트겐슈타인 말대로, 존재하는 것은 '사물'이 아니라 '사건'이라고 생각해 보면 어떨까. 아주아주 짧은 찰나에서 수도 없이 많은 존재들이 생겼다가 사라진다. 들뢰즈가 말하고 싶었던 것이 무엇인지는 그저 아주 어렴풋이만 알 것 같다. '질문'으로 (미래의) 무언가를 붙잡으려고 하는 순간, 잡으려고 했던 것은 멀리도 아니고, 아주 살짝 비켜선다. 그러면 다시 질문하겠지. 그러면 그것은 또 살짝 비켜서고 말 것이다. 가만히 앉아서, 아무것도 바뀌는 것이 없는 채로……, 무언가를 보태거나 빼는 방식으로, '안정'을 얻으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조금씩 비켜서며 손에 잡히지 않는 '존재' 덕에 '불안'은 여러 상태들 중에 특정한 어떤 상태가 아니라 벗어날 수 없는.. 2018. 6. 11. 이전 1 ··· 442 443 444 445 446 447 448 ··· 8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