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619

[아이가 왔다] 공룡이 나타났다 공룡이 나타났다 여기는 중생대 백악기 어느 대륙도 아니다. 그렇다고 쥬라기 파크도 아니다. 이곳은 '삼X공룡X마파크'라는 곳으로, 몇가지 거대한 공룡 모형과 도무지 의도와 목적을 알 수 없는 로봇, 원시인, 오리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입장료가 9천원인데(25개월 미만은 무료...였던가...) 어른의 눈으로 보자면 도대체 어째서 그 정도의 가격인지 납득이 안 간다. 말하자면 가성비가 몹시 떨어진다는 느낌이다. 그러나, 26개월짜리의 세계관 속에서 이곳은 그야말로 박진감 넘치는 모험의 세계였던 듯. 신이 나서 염소, 토끼, 오리를 관람하다가, 집에도 있는 말타기 인형도 타고, 공룡이 살아 숨쉬는 대지를 이리저리, 소리를 지르며 뛰어다닌다. 사실 나는 수차례 밝혔듯, 이런 곳에 다니는 걸, 아니 주말에 .. 2019. 6. 14.
​‘시각의 세계’, 각자가 보는 것은 같으면서 ‘다른 세계’​이다(1) ​‘시각의 세계’, 각자가 보는 것은 같으면서 ‘다른 세계’​이다(1) 시각령이 손상된 환자들 ​우리는 매일 무언가를 보고 있다. 잠을 자거나 의도적으로 눈을 감지 않는 한 눈을 통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무언가를 보게 된다. 눈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외부의 사물을 보고있다는 너무도 당연한 현실 속에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나는 눈으로 본다는 것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그저 눈으로 사물을 보고 뇌가 그것을 인식한다는 간단한 사실만을 알고 있었을 뿐이다. 헌데 이 매우 간단하고 자명한 ‘눈으로 본다는 것’은 많은 경로와 과정과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각을 다루는 분야는 안과와 뇌과학계이다. 눈이 외부의 사물을 인식할 때, 우리의 뇌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즈.. 2019. 6. 13.
『한서』가 나오기까지, 반씨가문을 기억하라(1) 『한서』가 나오기까지, 반씨가문을 기억하라(1) 역사는 누가 쓰는가? 흔히 왕조시대의 역사는 왕 혹은 국가의 명령에 의해 제작되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조선왕조실록만』해도 그렇지 않은가. 역사 편찬에는 방대한 사료가 바탕이 되어야 하고, 이 사료들을 선별 분석 정리하기 위해 엄청난 시간과 공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가 아니라면 이루기 힘든 사업이라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럽게 보인다. 그러나 2000년 전 최초의 정사라고 불리는 『사기』와 그 뒤를 잇는 『한서』는 왕의 명령으로 편찬된 역사책이 아니다. 개인이 역사를 기록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출발하여 한 집안이 대를 이어 일구어 낸 가문프로젝트였다. 『사기』는 부친 사마담이 준비하고 아들 사마천이 완성한 역사책이다. 사마담은 사관.. 2019. 6. 12.
그러므로 사람들은 다시 마을을 말한다 (2) 장성익, 『내 이름은 공동체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다시 마을을 말한다 (2)장성익, 『내 이름은 공동체입니다』 필자의 말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1. 그날따라 아침부터 부산했다. 무심코 평소 시간대로 오는 아이들이 없도록 전화도 해야 했고, 미리 언질을 한 마을 장터 운영진과도 재차 연락해 일정을 확인해야 했다. 안에서 수업하는 것에 비해 여러.. 2019.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