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619

『한서』가 나오기까지, 반씨가문을 기억하라(2) 『한서』가 나오기까지, 반씨가문을 기억하라(2) 천명을 살핀 부친 반표 『한서』가 기억하는 반표의 시대성은 특별하다. 서기 5년, 전한의 마지막 황제 평제가 독살로 죽고, 왕망이 세운 신나라는 약 15년만인 서기 23년에 멸망한다. 2년간의 혼란기가 지난 서기 25년 광무제 유수가 후한을 세운다. 반치의 아들이자 반고의 아버지인 반표는 서기3년, 이러한 극도의 혼란기에 태어나, 일생에 한 번도 경험하기 힘든 왕조의 교체기를 두 번이나 겪는다. 반표가 역사무대에 등장한 건 왕조의 두 번째 교체기. 즉 후한을 선포한 광무제가 전한의 옛 영토를 거의 다 수복하고, 최후의 경쟁자였던 농우지역의 외효·촉한의 공손술과 대립하고 있을 때였다. 당시 천하대세는 성군이라 칭송받는 광무제에게 기울어진 상태로, 반표 역시 .. 2019. 6. 26.
[쿠바리포트] 아바나, 그 여백의 미(美) 아바나, 그 여백의 미(美) ​다시 심심한 아바나로​지난 쿠바리포트에서는 쿠바에 대한 불만을 잔뜩 터뜨렸었다. 그러나 역시,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다. 멕시코에서 아바나로 되돌아오자 내 마음은 고요를 되찾았다. 잡생각과 감정의 기복이 없어지고, 아무렇지도 않게 땡볕에 서서 1시간씩 인터넷을 쓴다. ‘아, 오늘은 그래도 인터넷 연결이 비교적으로 안정적이었네,’ ‘최소한 시스템에 에러가 나서 내 인터넷 충전시간을 까먹지는 않았네’ 라고 감사하면서 말이다. 불평해봤자 해결책이 없다는 것을, 이제는 머리뿐만 아니라 온 마음으로 알게 된 것이다.​마음이라는 게 마치 흙탕물 같다는 생각이 든다. 평소에는 맑아 보이지만, 바람이나 지진 같은 계기가 외부에서 찾아오면 맨 밑에 가라 앉아있던 침전물(불만, 욕망, 감정, .. 2019. 6. 25.
김애령, 『은유의 도서관』 - 동일한 것도, 다른 것도 아닌 것 김애령, 『은유의 도서관』 - 동일한 것도, 다른 것도 아닌 것 은유'라는 개념은 그 자체로 얼마나 아름다운가. 서로 다른 것들을 다르게 둔 채로 연결짓는 이 행위야 말로 인간적 삶의 풍경을 조금이나마 아름답게 한다. '통합'과 '소통'이 이데올로기로 작동할 때마다 나는 항상 '은유'를 떠올린다. 우리 사회가 '상상력'과 같은 특정한 미적 감각이 결여된 사회라고 할 때, 그것은 무엇보다 이러한 '은유'의 감각이 결여된 채로 있다는 것과 같다. "은유 안에서는 '동일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작용한다." 은유의 도서관 - 김애령 지음/그린비 2019. 6. 24.
[아기가 왔다] 표정이 늘어간다 표정이 늘어간다 아기들의 얼굴은 정말 단순하다. 태어나서 초기에는 우는 얼굴, 그냥 얼굴, 웃는 얼굴 정도 밖에 없다. 그러다가 점점 크게 웃기, 작게 웃기, 데굴거리며 웃기 같은 식으로 표정들이 점점 분화된다. 그런 중에도 재미있는 것은 이른바 '인상 쓴다'고 할 때의 그 '인상' 그러니까 얼굴을 찡그리며 못마땅해하는 표정은 여전히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 딸의 경우도 최근(24개월 이후)에 와서야 인상을 쓰게 되었다. 물론 못마땅해서 짓는, 진짜 표정이 아니다. 그냥 어딘가에서 보고 따라한다. 요즘 우리 딸은 다양한 감정들을 연습하고 있는데, 확실히 감정이 다양해지는 것이 맞춰 표정들도 다양해진다. 조만간 진짜로 인상을 쓰는 날이 오겠지. 그때 아빠는 어째야 하나. (아빠처럼) 너무 자주 그러지는 말거라. 2019.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