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1024

‘사심’에서 ‘양지’로 ‘사심’에서 ‘양지’로 내가 사랑하는 책 『전습록』은 내 삶의 태도를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이 책과 진하게 만날 때쯤 나는 남편이 되었고 아빠가 되었다. 아빠가 된다는 사실에 설레고 기뻤지만 동시에 걱정도 함께 찾아왔다. 공부하는 백수였기에 버는 돈도 많지 않았고 모아둔 것도 별로 없었다. 점점 ‘생계’가 고민되기 시작했고 내 글은 걱정으로 채워졌다. 걱정한다고 먹고사는 문제가 해결되진 않았지만 나는 그 문제를 놓지 못했다. 그해 마지막 학기에 『전습록』을 만나서야 내가 왜 놓지 못했는지를 알게 되었다. 『전습록』은 명나라 시대의 유학자 왕양명과 제자들이 주고받은 문답을 모아놓은 책이다. 양명은 우리의 마음에 이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마음의 본체인 ‘양지’는 배우지 않고, 생각하지 않고도 무엇이 옳고 .. 2019. 10. 31.
[쿠바리포트]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이야기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이야기 드디어 읽는다, 연구실 인기도서 이 게으른 방학을 맞이하여, 나는 연구실의 영원한 인기 도서를 드디어 처음으로 집어들 수 있었다. 바로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다. 연구실에서 끊임없이 회자되어 온 책, 표지를 너무 자주 봐서내 책장에도 한 권은 꽂혀 있을 것 같은 착각을 주곤 했던 책, 뉴욕에 가기 전에 어머니에게 선물로 드리기까지했던 책. 그러나 나는 단 한 번도 이 책의 첫 장을 열어본 적이 없었다. 그 당시 나는 아주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내가 아직 중년이 안 되었기 때문에 이 책이 별 효용성이 없다고 여겼다. 저자가 동원한 임상 사례들은 모두 40대에서 50대, 아무리 젊어봤자 30대인 여성들이었다. 10대 후반이었던 내가 몸에 대해서 무슨 고민거리가 있었겠.. 2019. 10. 29.
[나는왜] 니체의 역겨움, ‘차라’의 가르침 니체의 역겨움, ‘차라’의 가르침 내 속의 무엇이 니체와의 만남의 계기가 되었을까. 억지로 만난 척 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이런 저런 고민을 하던 중, 대략 10년 전 쯤 공부하던 팀에서 했던 연구가 생각났다. ‘해방 공간의 교육력 연구’라는 주제의 논문이다. 당시 내가 정리하고 있던 내용은 일제의 억압으로부터 해방이 되자, 조선땅 곳곳에 지금으로 치면 중등학교가 지역민들의 자발적인 힘으로 세워졌고, 나는 이 힘을 조선인들에게 내재해 있는 ‘교육력’임을 논증하고 싶었다. 내가 사는 마을에 학교가 세워진다면 ‘누구는 땅을, 누구는 돈을, 누구는 자갈과 흙을, 누구는 시멘트 몇 포대를, 누구는 자신의 노동력’을 기꺼이 내 놓았다. 이러한 힘은 조선땅에서만 발휘된 것은 아니다. 일제시대 조선땅에서는 도저히 .. 2019. 10. 28.
아이는 때때로 배운다 아이는 때때로 배운다 부쩍 커졌지만 여전히 작다. 커진 몸에 맞게 이런 저런 것들을 연습하곤 하는데, 무엇하나 새롭게 익히지 않으면 안 되는 것들이 만다. 우리 동네 놀이터의 미끄럼틀은 언덕 위에 얹혀져 있는데, 얼마 전까진 거길 혼자서 못 올라갔다. 아빠처럼 서서 오르기엔 힘도 약하고 균형도 잘 못 잡으니까. 그래서 아빠가 끌어주거나 밀어주곤 했는데, 이 녀석이 갑자기 엎드리더니 기어서 올라가는 게 아닌가. 이렇게, 스스로 깨달아가는 구나 싶었다. 한번에 못 오르면 쉬었다 오르고, 돌아서 가고, 기어서 가고. 기특하다! 2019.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