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53 [문장보감] 글쓰기, 나의 운명 나의 전투 문장보감 - 글쓰기, 나의 운명 나의 전투 글쓰기는 나의 운명(왜 써야 하는가) ‘글쓰기’는 말만 들어도 힘들고 괴롭다. 무엇을 써야 할지, 어떻게 써야할지 막막하고 두려워서 머리가 하얘지는 경험들을 누구든 한 번 쯤 해봤을 것이다. 이처럼 어려운 글을 왜 써야 하는 것일까? 당나라 정치가이자 문장가인 한유(韓愈 768~824)는 글쓰기는 피할 수 없는 운명같은 것이라고, 도무지 어쩔 수가 없어서 쓸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운명이라니? 무슨 말인가? 만물은 평정을 얻지 못하면 소리내 운다.(大凡物不得其平則鳴) 초목은 본디 소리가 없으나 바람이 흔들면 소리내 울고, 물은 본디 소리가 없으나 바람이 치면 소리내 운다. 솟구치는 것은 무언가가 그것을 쳤기 때문이고 내달리는 것은 무언가가 그것을 막았기 때문이며.. 2017. 2. 21. 2월 넷째주, 금주의 사고 싶은 책 2월 넷째주, 금주의 사고 싶은 책 『무장한 예언자 트로츠키』, 아이작 도이처, 김종철 옮김, 시대의창 책소개레닌과 더불어 러시아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레온 트로츠키의 생애와 사상을 꼼꼼하게 기록한 책이다. 트로츠키 전기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아이작 도이처의 '트로츠키 평전 3부작'인 를 완역한 책이다. 는 트로츠키 평전 3부작 시리즈 첫 번째 책으로 1879년부터 1921년까지의 트로츠키의 삶을 전해준다. 부유한 유태인 지주의 아들이었던 트로츠키가 혁명가로 거듭나는 과정을 비롯해 뛰어난 조직가, 대중선동가, 전략가이자 사상가로서 그가 러시아혁명에서 한 역할과 그 이론적 토대를 살펴본다. 레닌의 후계자로, 스탈린의 맞수로, 불굴의 낙관주의자로 세상을 살았던 트로츠키의 초창기 모습을 생.. 2017. 2. 20. [정화스님 멘토링] 공부도 결국엔 '몸'으로 하는 것! [정화스님 멘토링] 공부도 결국엔 '몸'으로 하는 것! 질문 1. 제가 뭔가를 바꾸고 싶어서 공부를 하러 왔는데요. 힘들어요. 공부하려면 생활패턴도 바꾸고 그래야 하는데 그게 잘 안돼서 속상하고 힘들어요. 그리고 여기서 하는 공부에 제가 못 미치는 것도 같고요. 열심히 살고, 열심히 공부를 하려면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할까요? 스님: 우선 열심히 하지 마세요. (일동 웃음) 우선 기본적으로 노는 것 비슷하게 해야 합니다. 열심히 하려는 생각으로 몸과 마음에 스트레스를 주어 가면서 하면 뭔가 될 것처럼 보여도, 그것 자체가 신체적으로 별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공부를 한다는 건 현재 내 몸과 마음이 즐겁고 편하려고 하는 건데 적당한 스트레스를 주어가면서 해야죠. 그런데 스스로가 설정한 목표라든가 주변.. 2017. 2. 17. <논어>, 만인을 위한 교훈이 아니라 나에게 건네는 말! 누구나 아는 공자, 누구나 아는 만인을 위한 교훈이 아니라 나에게 건네는 말! 맹자, 박지원, 왕양명의 공통점은? 맹자는 자신을 공자 학맥의 일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증자의 제자이자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에게, 아니 정확하게는 자사의 문인에게 배웠습니다. 따지고 들자면 학력 세탁 논란이 좀 있을 수도 있어요. 에 보면 공자의 문도가 삼천 명이었다고 하는데, 그 중에는 아마 등록금 정도 한 번 내었을 정도의 인연들도 포함되었다고 볼 수 있어요. 그만큼 삼천 명이라는 숫자는 생각보다 엄청난 숫자입니다. 그런데 맹자는 사실 공자의 제자(증자)의 제자(자사)의 제자(자사의 문인)의 제자라는 겁니다. 이쯤 되면 학력 세탁.... 그래도 맹자님이니 아니겠죠?(웃음). 이 맹자의 일생도 파란만장합니다. 대략 80.. 2017. 2. 16. 이전 1 ··· 526 527 528 529 530 531 532 ··· 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