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553

『너무 잘하려고 하지 마세요』 씨앗문장_내 생각은 내 생각일 뿐 “나와 같은 생각을 하자”는 요구는 스스로를 번뇌에 빠뜨리는 길 상대는 나처럼 보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생각의 습관이 다르기 때문이지요. “네가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 하는 것은 내가 보는 것이 옳다는 생각에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나한테 옳다고 보여도 상대방에게는 그렇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지요. ‘옳다’라는 것도 사람마다 순위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질문하고 지켜보면서 생각을 바꾸는 것이 행을 닦는 것(수행修行)이며, 수행이 익어진 것이 습관이 됩니다.따라서 자기와 타인의 습관을 어떻게 볼 것인가가 중요합니다. 시비가 분명한 것이 아니면 생각의 습관이 ‘다르다’라고 보아야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전제로 생각의 차이에서 접점을 찾아갈 뿐입니다. 서로 다른 생각의 차이를 인정하지 .. 2017. 2. 15.
저는 정말 부대끼는 게 싫어요 저는 정말 부대끼는 게 싫어요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각종 질병의 원천은 고립감이다. 쉽게 말해 친구가 없어서 일어나는 증상이다. 아니, 친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모르는 ‘무지’에서 오는 자승자박(自繩自縛)이다. 현대인은 친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일들을 각종 상담처나 병원을 찾아 다니며 하소연 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그것도 시간과 비용을 엄청나게 지불하면서! 이런 모순을 타파하려면 일단, 친구라는 존재가 생명활동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달아야 한다. 내가 만나는 사람이, 또 그 사람과 맺는 관계가 곧 나다!고미숙, 『바보야, 문제는 돈이 아니라니까』, 156쪽 처음 이 구절을 읽었을 때 너무나도 내 이야기 같아서 얼마나 뜨끔 했는지 모른다. ^^ 나는 어느 모로 보나 의지도 박약하고, 스트레스 저항성도.. 2017. 2. 14.
2월 셋째주, 금주의 사고 싶은 책 2월 셋째주, 금주의 사고 싶은 책* 표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책 소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그래, 이 맛에 사는 거지』, 커트 보네거트, 김용욱 옮김, 문학동네 책소개20세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 블랙 유머의 대가인 커트 보니것의 졸업식 연설문 모음집. 미국 교과서에 작품이 수록된 작가 중 학생들로부터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작가이자 청년들의 영웅, 반(反)문화의 대변인이었던 보니것은 졸업식 연사로도 인기가 많았다. 그러나 정작 그에게는 대학 졸업장이 없었다. 시카고 대학 재학 시절, 이미 부양해야 할 아내와 아이들이 있었던 그는 결국 학업을 중단하고 생업에 뛰어들었고, 보니것의 졸업식 연설은 이제 막 세상에 첫발을 내딛는 젊은이들에게 엄청난 호응을 받았다. 보니것의 연설에는 .. 2017. 2. 13.
벌써 10년, <거침없이 하이킥> 벌써 10년, 얼마 전 반가운 얼굴을 만났습니다(물론 직접 만난 것은 아니옵고, TV에서 말입니다;; 그래도 반갑긴 엄청 반가웠습니다!). 한때는 일주일에 다섯 번을 만나던 사람이었는데, 그후 10년간 소식이 뚝 끊겼더랬지요. 그런데 다른 데도 아니고 에서 그이를 만나게 될 줄이야! 네 그이는 ‘까칠이 이 슨생’, 이민용 아니 최민용이었습니다. 아, ‘하이킥’…. 시즌 3에 해당하는 은 보지 않았지만(정말 ‘안’ 봤습니다. 이유는 아실 만한 분들은 아실 겁니다) 근황의 아이콘 최민용이 출연했던 과 그 후속이었던 을 저는 정말 사랑했었습니다. 그리고 내내 잘 웃겨 놓다가 마지막에 급작스럽게 대폭발하고 마는 김병욱 감독식의 비극미에 (매번) 큰 상처를 받았더랬지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10년이 지난 .. 2017.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