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93 내가 그린 '낭송 옛이야기' 이벤트 응모 결과 3탄!! 내가 그린 '낭송 옛이야기' 이벤트 응모 결과 3탄!! [낭송 내가 '그린' 옛이야기! 대(大)이벤트!!] 응모 결과 마지막 부분입니다. 벌써 마지막이라니... 어쩐지 이벤트 한번 더 해서 더 많은 그림을 보고 싶다는 생각도 해 봅니다. ^^ 오늘 그림들은 그림도 그림이지만, 이야기들이 참 재미있습니다. 재미있게 감상해주셔요~~ 윤주영(8세) 어린이 『낭송 경상남도 옛이야기』, 「타고난 효자효부」 「타고난 효자효부」 이야기는 옛이야기판 『고리오 영감』이랄까요? 내용은 이렇습니다. 거창에 노인이 한 분 살았습니다. 이 분에게는 딸만 셋이 있었는데, 아내도 죽고 봉양하는 아들도 없고 해서 몹시 적적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난한 먼 친척의 아들을 양자로 들였죠. 그러던 어느날, 큰 딸이 찾아와 아버지를 모시겠.. 2017. 5. 22. 모니카 마론, 『슬픈 짐승』 - 기억에 관한 무참한 이야기 모니카 마론, 『슬픈 짐승』 - 기억에 관한 무참한 이야기 제목이 너무 감각적이라 선택이 머뭇거려지는 경우들이 있다. 이 작품도 그랬다. 현대 여성작가가 ‘슬픈 짐승’이라는 제목으로 쓴 소설… 작품을 보지 않고도 ‘촉’이 왔다. 표지를 봤더니 첼로 뒤에 누운 여인(남자 다리 같지는 않다)의 벗은 다리 사진이다. 역시 마음에 들지 않았다. 그런데 뭣에 씌었는지 책을 주문했고 도착한 그날부터 읽기 시작했다. 결과는 아주 만족스럽지는 않았지만 문학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니까, 현실에서라면 이해하고 싶지 않은 인간을 이해하게끔 만들어버리는 그 마력과도 같은 힘에 대해. 간단히 말해 이 작품은 짧은 사랑과 긴 기억에 관한 이야기다. 중년의 여인이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발작 이후 몇 .. 2017. 5. 19. 존재의 탈바꿈, 그 가능성에 대하여 #4- 자유로운 삶이란? 존재의 탈바꿈, 그 가능성에 대하여 #4- 자유로운 삶이란? 쓸모 있음과 쓸모 없음 장자는 『소요유』 편에서 사물의 ‘쓸모’를 질문하는 혜시를 등장시킨다. 『장자』에 등장하는 혜시는 장자의 가까운 친구이지만, 늘 장자에게 한 수 배우는 캐릭터이다. 실제로 혜시는 언어와 이름의 본질을 파헤치는 명가(名家)이다. 한 언어 혹은 이름의 명목과 실질을 따지는데 에너지를 온통 소모하지만, 정작 이런 노력이 인식의 전환이나 해석의 전복으로 이어지지 않아 자칫 궤변론자처럼 취급되기도 한다. 그래서 장자에게 늘 한 소리를 듣는다. 물론 혜시는 우리가 넘보기 어려운 대학자이다. 저서가 수레 다섯 대에 가득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런 대학자 혜시조차 세상 사람들이 규정하는, 쓸모 있음의 기준으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쓸모를.. 2017. 5. 18. 내가 그린 '낭송 옛이야기' 이벤트 응모 결과 2탄!! 내가 그린 '낭송 옛이야기' 이벤트 응모 결과 2탄!! [낭송 내가 '그린' 옛이야기! 대(大)이벤트!!] 응모 결과 2탄입니다. 어쩌다가 응모 그림들이 모여있는 폴더를 펼쳐보곤 하는데요. 그림 보는 재미가 의외로 쏠쏠합니다. ^^ 도무지 어른들은 상상하기 어려운 묘사들도 자주 눈에 띄고요. ^^ 2탄도 재미있게 보아주세요~~ 김재윤(11세) 어린이 『낭송 경상남도 옛이야기』, 「사신을 돌려보낸 떡보」 「사신을 돌려보낸 떡보」는, 뭐랄까요, 아주 현대적인 '개그물'입니다. ^^ 내용은 이렇습니다. 경상남도 밀양에 아주 떡을 좋아하는 떡보가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중국에서 조선땅에 인재가 있는지 알아보겠다며 사신을 보낸다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나라가 온통 난리가 났지요. 떡보는 그 소식을 듣고,.. 2017. 5. 17. 이전 1 ··· 521 522 523 524 525 526 527 ··· 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