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619

모험과 철학의 별자리, 사수자리 모험과 철학의 별자리, 사수자리 첫눈이 내립니다. 뜨거운 여름도 수확의 가을도 끝난 시간, 온 대지는 하얗게 눈으로 덮입니다. 만물은 형체의 디테일을 감추고 고요해집니다. 이때는 내면에 귀를 기울여야 존재를 알 수 있는 시간입니다. 2주가 더 지나면, 함박눈이 내립니다. 펑펑 쏟아져 내린 눈은 소복소복 하얀 솜이불이 되어 평등하고 관대하게 땅을 보온합니다. 스케일 크게 지구의 모든 땅을 뒤덮습니다. 첫눈이 내리는 소설(小雪, 양력 11월 22일 무렵)과 함박눈이 내리는 대설(大雪)의 기간에 태어난 사람들... 사유의 힘과 거대한 관대함을 가진 이들이 바로 사수자리입니다. 반인반마, 우주와 인생의 이치를 탐구하다. 애니메이션 의 주인공 ‘포’는 커다란 덩치에 쾌활하고 큰 소리로 떠들고 웃고 뛰어다닙니다. .. 2019. 3. 11.
[아기가 왔다] 딸의 낮잠 친구와 어떤 침대 딸의 낮잠 친구와 어떤 침대 우리 딸은 (다른 모든 아기들이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낮잠을 자기 전에 특정한 행동을 한 후 특정한 상태로 잠자리를 세팅하려고 한다. 마치 타석에 들어서기 전 장갑 벨크로를 여러번 고쳐 붙이는 타자 같다. 우리 딸은 자야겠다고 마음을 먹으면 아빠에게 안아달라고 한다. 그러고는 전등 스위치를 제 손으로 직접 끊다. 그 다음엔 잠자리 옆에 사진에 보이는 야옹이(일명 '응야') 인형을 두어야 하고, 옷걸이에 걸어둔 페이크퍼 조끼를 덮어 달라고 한다. 이게 끝이 아니다. 요즘은 스마트스피커에서 나오는 파도소리를 배경으로 까는 과정이 추가 되었다. 이 모든 준비를 마치면 일단 아빠(어떤 침대의 정체다)가 눕는다. 그러고 나면 딸이 아빠 배 위에 눕고, 딸의 등을 조끼로 덮어주는 것이다.. 2019. 3. 8.
메이지 헌법의 구성과 신체성 - (3) 메이지 헌법의 구성과 신체성 - (3) 소위 ’시라스[しらす]‘라는 것은 즉 통치를 의미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역대의 천황은 이 천직을 중시해,군주의 덕은 팔주신민(八州臣民)을 통치하기 위해 있고,일인일가에 향봉(享奉)하는 사사로움에 있지 않음을 보여주었다.이것은 이 헌법에서도 의거하는 기초가 되는 바이다.─伊藤博文, 『헌법의해(憲法義解)』(1889) ‘통치’와 ‘시라스’​ 앞서 『헌법의해』와 「군인칙유」, 「칙어연의」에서 보았듯이 이러한 새로운 통치모델은 후쿠자와의 국체론과 대비를 이루면서 천황의 권력을 강화하는 신체상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이처럼 머리와 사지를 상하 수직적인 명령 관계로 파악하는 신체성 속에서 다양한 바디폴리틱은 천황 중심의 단일한 신체모델로 정리되기 시작한다. 이노우에 코와시(井上毅.. 2019. 3. 7.
마르틴 하이데거, 『근본개념들』 - '잊어버린 앎'을 깨닫는 일 마르틴 하이데거, 『근본개념들』 - '잊어버린 앎'을 깨닫는 일 요즘 들어 부쩍 자주 생각하는 주제다. 무언가를 '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사실 인류 역사 전체를 볼 때, 현재처럼 보관된 지식의 양이나 증가속도, 이동속도 등이 폭발한 적은 없었다. 현대는 그야말로 '지식의 낙원'이라 할 만하다. 다만 문제는 그렇게 지식이 빠르게 늘어나고, 빠르게 이동하는 중에 무언가 한가지 끊임없이 잊혀지고 있는 게 있는 것 같다. 하이데거의 문제설정이 출발하는 곳도 바로 그 지점이다. '잊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인간성'일 수도 있을 테고, '본질'이라고 부를 수도 있겠지. 그리고 하이데거라면 아마도 '존재'라고 불렀을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눈에 보이고, 들을 수 있고, 만질 수도 있는 현상 아래에 감춰.. 2019.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