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양고전 이야기 ▽214

[내인생의주역시즌2] 구하라! 얻을 것이다 구하라! 얻을 것이다 澤雷 隨 ䷐ 隨, 元亨, 利貞, 无咎 수괘는 크게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롭고 허물이 없다. 初九, 官有渝, 貞, 吉, 出門交有功 초구효, 책임을 맡은 것에 변화가 있으니 바르게 하면 길하고 문 밖으로 나가 사귀면 공이 있다. 六二, 係小子, 失丈夫 육이효, 소인배에게 얽매이면 장부를 잃는다. 六三, 係丈夫, 失小子, 隨, 有求, 得, 利居貞 육삼효, 장부를 따르고 소인배를 버리므로 민심이 따르고 구하는 것이 있어 얻으니 바르게 자신을 지키는 것이 이롭다. 九四, 隨有獲, 貞, 凶, 有孚, 在道, 以明, 何咎! 구사효, 민심이 따르는데 차지하려는 바가 있으면 올바르더라도 흉하다. 진실한 믿음이 있고 도리를 지키면서 명철하게 처신하면, 무슨 허물이 있겠는가! 九五, 孚于嘉, 吉 구오효.. 2022. 8. 18.
[마이너리티리포트] 격물과 낯설게하기 ; 격자(frame)화로서의 물 왕양명의 마이너리티 리포트 - 슬기로운 유배생활 3부. 슬기로운 유배생활(2) - 용장대오? 용장생활백서 격물과 낯설게하기 ; 격자(frame)화로서의 물 (사)물과 마음이 함께 있다(정확히는 ‘마음 밖에 있는 (사)물은 없다’)는 양명의 말은. 어딘가 기본적이고 상식적인 물리 법칙을 위배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것은 현대와 과거의 문제도 아닙니다. 양명의 생각은 당시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안겼기 때문입니다. 을 보면 양명의 격물설에 당혹스러워하는 동시대 학자들의 일그러지는 미간 주름이 무시로 보입니다. 특히 주자학자들에겐 더욱 그러했습니다. 동아시아 유학의 사유를 공부하다보면 아이러니 같은 것이 있는데, 이를테면 이런 것입니다. 오늘날의 눈으로 보면 주자학은 과거 전근대적 인식의 대명사입니다. .. 2022. 8. 17.
[복희씨가 들려주는 동의보감이야기] 연재를 시작하며 오늘 '복희씨가 들려주는 동의보감 이야기' 연재를 시작합니다! 복희씨는 바로 『아파서 살았다』의 저자, 오창희 선생님이신데요, 올해 『동의보감』 세미나를 하시며, "생각나는 이야기들-선생님께서 겪으신 것, 주변에서 보고 들은 것" 등을 이야기해주신다고 합니다. "아픈 채로 명랑하게 살 수 있는 양생의 노하우"도 많이 알려주신다고 하는데요... 앞으로의 연재,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연재를 시작하며 『동의보감』과 함께 명랑하게 사는 법 2012년, 『동의보감』을 공부하러 감이당에 왔다. 1978년 류머티즘 발병 후 35년째 되던 해였다. 그때 아픈 이후 처음으로 내 몸을 내가 관리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 직접적인 계기가 된 사건이 있었는데, 2007년에 당한 대퇴부 골절 사고였다. 그 사고로 2년간.. 2022. 8. 12.
칼과 바다, 정치사상가 한비자 읽기 (6) : 한비자 개요 ② 칼과 바다, 정치사상가 한비자 읽기 (6) : 한비자 개요 ② 통치론 한비는 현실인식에 밀착해 통치를 구상했다. 그의 현실관의 연장에서 왕과 통치술이 거론된다. 한비의 해결책은 정책차원에 머무르지 않는다. 통치술에 대해 근본적인 질문을 했기에 정치사상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당면한 문제에 대한 일회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군주와 통치의 근간을 따져 묻고 이에 대한 해답을 모색했다. 그의 세(勢)·술(術)·법(法)이 해석된 것도 이런 의미에서다. 군주와 국가를 둘러싼 현실문제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위기의식이 강했기에 진단이 여러 부문에 걸쳐 다양하게 언급될 수 있었다. 현실은 호락호락하지 않다. 지식인들의 글쓰기에서 나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 가운데 하나는 자신의 지식 혹은 선입견으로 현실을 재단한다는 점이다.. 2022.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