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드라망1276 [쉰소리 객소리 딴소리] “벗이여 나는 이즈음 자꾸만 하나의 운명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나이가 쉰을 넘어 가니, 그 전에는 눈에 들어오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도 하고, 마냥 고정되어 있을 것 같은 어떤 상태도 시간 속에 변화됨을 목격하기도 한다. ‘쉰이 넘으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이랄까. 내가 나이 들어서 좋다고 생각하는 점 중 하나는 이런 것들이 보인다는 것, 이들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들을 소소하게 나누고 싶어 코너 하나를 만든다. 비정기적으로, 그러나 꾸준히 올리는 것이 목표이다. 쉰이 넘어서 하는 이 객쩍은 소리, 게다가 종종 딴소리로 빠질 이야기이지만 독자분들에게 거는 작은 말걸기로 너그럽게 보아 주시길. “벗이여 나는 이즈음 자꾸만 하나의 운명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벗이여 나는 이즈음 자꾸만 하나의 운명이라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임화의 시 「자고 새면」 제목.. 2022. 11. 23. 11월의 ‘공부로 불타는 화요일’엔 나의 운명 설명‘해’!!—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출간 10주년 기념 ‘전국 내 팔자 자랑’ 대회 얼마 전, 카카오 화재 여파로 저희 북드라망 블로그까지 접속이 어려웠는데요...ㅠㅠ 그래서 11월 공부로 불타는 화요일의 마지막을 장식할 "전국 팔자자랑 대회"를 다시 한 번 홍보합니다! 11월의 ‘공부로 불타는 화요일’엔 나의 운명 설명‘해’!! — 『나의 운명 사용설명서』 출간 10주년 기념 ‘전국 내 팔자 자랑’ 대회 지난 10월 16일 일요일 점심 때 뭣들 하셨나요? 저는…, 저는…, 을 보았습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난주 일요일은 돌아가신 송해 할아버지의 뒤를 정식으로 이은 ‘우리 신영이’(저랑 1도 친분이 없지만 그래도 이렇게 부르고 싶네요, 김신영 씨♡)가 진행하는 이 처음으로 방영되는 날이었지요. 안타깝게도 앞부분을 놓쳐서 양희은 아줌마의 축하무대와 우리 신영이와의 듀엣 공연은 .. 2022. 10. 31. 『대중지성, 금강경과 만나다』 저자 인터뷰 『대중지성, 금강경과 만나다』 저자 인터뷰 1. 선생님께서는 오랜 기간 의학을 공부하고 또 의사로서의 삶을 살아오셨는데, 어떻게 『금강경』과 만나서 책까지 쓰게 되셨는지 독자분들에게 간략히 소개해 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지난 30년간 서울 시내 같은 장소에서 환자를 진료하고 있는 내과 의사입니다. 나이 오십일 때 ‘감이당’에서 공부를 시작했어요. ‘감이당’은 공부 공동체로 고전을 중심으로 도반들이 모여 같이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곳이랍니다. 7년 정도 ‘감이당’에서 공부를 이어오다가 2019년에 각자 원하는 고전을 택해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장자 스쿨’ 과정을 참여하게 되었어요. 이때 담임이었던 고미숙 선생님께서 불경 중 하나를 택하는 것이 어떤지 제게 권유했는데, 말씀을 듣자마자 머릿속에 번개처럼 떠오.. 2022. 10. 25. 지금 겪고 있는 괴로움의 매듭에서 풀려나고 싶다면 『금강경』을!―신간 『대중지성, 금강경과 만나다』가 출간되었습니다! 지금 겪고 있는 괴로움의 매듭에서 풀려나고 싶다면 『금강경』을! ―신간 『대중지성, 금강경과 만나다』가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작년 이맘 때 『대중지성, 홍루몽과 만나다』를 소개해 드렸는데, 공교롭게도 같은 시기에 또 한 권의 감성(감이당 대중지성) 시리즈를 소개해 드리게 되었습니다. 바로바로 『대중지성, 금강경과 만나다』입니다! 짝짝짝! 『금강경』은 불교 신자가 아니라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경전이지요. 실제로 『금강경』을 설법해 주신 여러 스님들, 지식인 선생님들의 책만 해도 여러 권이 나와 있습니다. 그러나 이 책 『대중지성, 금강경과 만나다』는 『금강경』을 하나하나 설명해 드리는 책이 아니라, 바로 대중의 눈높이에서 쓴 안내서입니다. 그래서 대승불교의 중요한 경전으로 .. 2022. 10. 24.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