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555

내 운명에 대한 무지에서 탈출하자! 사주명리학 미니 세미나 후기~! 사주명리학 미니 세미나 후기 『“바보야, 문제는 돈이 아니라니까”』의 출간 기념 이벤트로 진행되었던 가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하시지요? 그런 이벤트가 있었나? 하시는 분들은 요기서 확인해 보셔도 됩니다만… 굳이 그럴 것까지야;;(^^) 좌우간 운명에 대한 무지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분들의 열망이 어찌나 뜨겁던지요. 추첨을 통해 10명 내외의 분을 뽑기로 하였는데, 글쎄 신청을 60분이나 넘게 해주셨습니다. 그래서 정말 어렵게 15분을 추첨하였는데 그날 갑자기 비가……. 그리고 이런저런 사정으로 불참하게 되신 분들도 계셨고 그냥 아니 나타나신 분들도 계셔서 사진처럼 (그리고 원래 취지대로) ‘미니미니’하게 세미나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주 1회로 2주에 걸쳐, 의 大매니저이자 낭송Q시리즈의 『낭송 동의수세보원.. 2016. 7. 15.
"군자가 중용을 행한다는 것은 시중하는 것이다" 시중이란 무엇인가? 크로노스와 카이로스 시간의 공존, 시중(時中) 『중용』은 텍스트 전체가 자연의 질서에 인간의 질서를 어떻게 합치시킬 것인가에 바쳐져 있다. 자연의 질서에 인간의 질서가 연결되어야 한다는 생각은 고대 중국을 비롯한 전근대사회의 특징적인 사유패턴이다. 근대이전에는, 자연의 질서와 상관없이 인간이 만들고 개조하는 것이 사회라는 생각은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런 이유로 전근대사회의 사회구조는 동양이든 서양이든 상당히 안정적이었다. 사회구조를 바꾼다는 것은 자연의 질서가 바뀐다는 의미였기 때문이다. 고대인들의 우주론은 중심과 주변이라는 정해진 자리를 가지고 있었고, 그것은 고대의 신분제와 합치했다. 고대중국에서는 별들이 북극성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생각했는데, 북극성은 황극으로서 천자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2016. 7. 14.
4주년 이벤트 결과를 발표합니다! 북드라망 best 4와 당첨된 독자님들은~ 두구두구두구~ [4주년 이벤트 결과 발표] 우리들이 사랑한 북드라망의 best 4는? 아, 올해도 어김없이 북드라망의 생일 이벤트에 참여해 주신 여러분, 그리고 직접 참여하지는 못하셨지만 어디서건 저희의 생일을 축하해주셨을 여러분들 모두모두 감사합니다! 사실 이번 이벤트는… 난이도(?)라기보다는 진입 장벽이 좀 높았지요. 한 권도 아니고 무려 네 권을 뽑아 달라고 하였으니 말입니다. 혹시라도 너무 참여도가 낮으면 어쩌나, 다음 해부터는 생일 이벤트를 하지 말아야 하나… 하였는데, 다행히도 기우였습니다.^^ 무려 27분께서 이벤트에 참여해 주셔서 북적북적한 생일 주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짝짝짝짝!) 자, 그럼 후딱 best 4를 발표하고, 이벤트에 당첨되신 행운의 독자님 네 분을 발표하겠습니다. 먼저 4위! 북드라망.. 2016. 7. 13.
[약선생의 도서관] 철학의 '서체중용'을 넘어서 - 풍우란의 『중국철학사』 중국 ‘철학’의 모험과 회귀 풍우란의 『중국철학사』 이솝우화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본시 목소리가 백조처럼 맑았던 솔개가 있었다. 그런 솔개가 어찌된 일인지 말이 우는 소리를 듣고 부러워했다. 나는 도무지 이해되지 않지만, 이 솔개는 있는 힘을 다해서 말 흉내를 냈다고 한다. 그런데 아뿔싸, 말 우는 소리를 따르려 갖은 기술에 온몸을 받치는 사이, 솔개는 이미 가지고 있던 자신의 능력을 잃어버리고 만다. 그러니까, 말 우는 소리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백조처럼 맑게 노래하는 법만 잊어버리고 만 것이다. 어쩌면 동아시아의 사유가 솔개와도 같은 처지에 있게 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모두 알다시피 20세기 초 동아시아의 엘리트들은 너도나도 똑같은 질문 앞에 섰다. 서양은 왜 부강한가? 대답은 너무 당연한 .. 2016.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