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97 서당개 어언 3년, 자신(自信)과 불신(不信) 서당개 어언 3년, 자신(自信)과 불신(不信) 子使漆雕開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자사칠조개사 대왈 오사지미능신 자열 공자(孔子)께서 칠조개(漆雕開)에게 벼슬하기를 권하셨다.칠조개가 대답했다. “저는 벼슬하는 것에 대해 아직 자신할 수 없습니다.” 하니, 공자(孔子)께서 기뻐하셨다. - 〈공야장〉편 5장 =글자 풀이==주석 풀이=공자의 배움은 실천을 전제로 하고, 이 실천에는 정치도 포함된다. 하지만 공자의 모토는 ‘배운 뒤에 벼슬에 나아간다’이다. 배움으로 자신을 완성시키지 못한 사람이 벼슬을 하게 되면, 사욕에 쉽게 흔들려 직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나아가 벼슬을 잃고 자신을 해치기도 한다. 따라서 공자는 평소 망령되이 행동하지 않도록 내면을 다지는 수신(修身)을 끊임없이 강조했고, 배우지 않고 벼.. 2018. 5. 23. 미셸 푸코 『말과 사물』 - 바닷가 모래사장에 그려놓은 얼굴처럼 사라지기를 미셸 푸코 『말과 사물』- 바닷가 모래사장에 그려놓은 얼굴처럼 사라지기를 그 유명한 『말과 사물』(미셸 푸코)의 마지막 문장이다. 한 문장이 네 줄에 걸쳐 있을 만큼 복잡하지만, 결국 요지는 하나. '배치'가 바뀌면 모든 게 바뀐다는 뜻. '인간'은 스스로 '인간'임을 자각한다. 그리고 '인간'이 아주 오래 전부터 지금과 같았다고 믿고 있다. 『말과 사물』은 그러한 '인간'의 '인간'으로서의 자각이 사실은 특정한 배치의 산물임을 밝힌다. 더 간단하게 말하자면 주체로서의 '인간'은 발명(또는 발견)되었다. 굳이 말하자면, 영 유치한 생각이기는 하지만, 나는 발명(발견) 이전으로 돌아가고 싶었다. 내 삶에 거의 100%(는 뻥이고 구십 몇 퍼센트 쯤) 만족하기는 하지만, 가끔 '인간'으로 사는 것이 너무 피.. 2018. 5. 21. 딸의 감기,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야_아빠 딸의 감기,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야 시작이 있으면 끝이 있는 법이고, 그 말은 곧, 끝은 다른 시작이라는 말과 같다. 지난 주 엄마편에서(바로가기) ‘끝이 있는 건 좋은 것’이라 했던가? 우리 딸의 돌발진이 그 말대로 끝났다. 그리고, 감기가 시작되었다. ㅠㅠ 우리 딸은 지금 생애 두번째 감기를 앓는 중이다. 우리 가족은 딸의 돌발진 열이 가라앉고 이틀 정도 즐겁게 지냈다. ‘열만 떨어져도 이렇게 좋네’ 하면서 말이다. 그랬는데... 혹시나 싶은 마음에 체크해본 딸의 체온이 37.5도, 곧 37.8도... 아빠는 그때 ‘어...어...’ 했더랬다. 아기가 열이 나면 관련된 대응 매뉴얼을 모두 숙지하고 있어도 당황스럽다. 그게 별 일이 아니라는 것도 알고, 그걸 알고 있다는 점을 되뇌어 보아도 당황스.. 2018. 5. 18. 아버지,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 카프카의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 아버지, 당신을 사랑했습니다: 카프카의 『아버지께 드리는 편지』 당신의 겨울 왕국 “나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처럼 혹한의 세계에서 살고 있어요. 그렇지만 우리는 에스키모인처럼 삶의 바탕도, 모피도, 또다른 생존 수단도 갖고 있지 않아요. 그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는 모두 벌거벗은 몸이죠. 오늘날 가장 따뜻하게 옷을 입고 있는 것은 양의 탈을 쓴 늑대들뿐이에요. 그들은 아무 탈 없이 잘 지내고 있어요. 그들은 꼭 맞는 옷을 입고 있죠.”[구스타프 야누흐, 『카프카와의 대화』] 카프카는 프라하에서의 삶이 혹한과도 같다고 했습니다. 사막의 재칼들이 아랍인을 잡아 죽이겠다고 시뻘건 눈을 번뜩이며 돌아다니는 것처럼, 도시의 거리 곳곳에서는 체코 민족주의와 독일 민족주의, 시오니즘 각각이 순결한 땅을 갖겠다며 서로를 .. 2018. 5. 17. 이전 1 ··· 460 461 462 463 464 465 466 ··· 9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