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619

과학과 혁명의 별자리, 물병자리 과학과 혁명의 별자리, 물병자리 흉내 낼 수 없는 개성을 소유한 자유로운 영혼, 세계 어느 곳이든 갈 수 있고, 다양한 사람들이 함께 섞여있는 공항을 사랑하는 사람들, 가족보다 친구가 더 소중한 사람들, 이상주의자이며 인본주의자, 때론 느닷없고 돌발적인 에너지를 가진 4차원이고 똘끼 넘치는 사람들... 물병자리는 이렇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인생 나이 70세에서 77세에 해당하는 에너지인 물병자리는 염소자리에서 얻은 모든 지위에서 내려와 평범한 사람이 되어 자유롭게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면서, 그동안 살아오면서 얻은 지혜를 세상에 나누어주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하늘의 물병 별자리는 지혜의 물이 가득 든 물병을 든 사람이 아낌없이 물을 쏟아주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끝과 시작의 공존, 토대를 깨다 .. 2019. 4. 8.
나의 직업 - 피 땀 눈물 나의 직업 - 피 땀 눈물 나는 입시학원에서 재수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3년 12월부터 학원 강사 일을 시작했으니 벌써 만 15년이 넘었다. 대부분의 학원 강사들이 그렇듯 내 꿈은 학원 강사가 아니었다. 아버지께서 뇌출혈로 쓰러지시고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돈’을 벌어야 하기에 이 직업을 선택했다. 학원 강사로 일하며 인생의 3분의 1 이상을 보냈지만, 시작부터 지금까지 계속 탈출만을 생각했다. 그러니 이 직업에서 열심히 노력해 최고가 되겠다거나 이 일을 나의 천직으로 생각하는 소위 소명의식이라는 것도 있을 리가 없다. 꾸역꾸역 주어진 수업을 문제없이 하자는 생각으로 지낼 뿐이다. 그렇다고 일을 대충 하는 것은 아니다. 효율적인 내용 전달과 재미있는 수업 방식에 대한 고민은 끝이 없다. 하고 싶어.. 2019. 4. 5.
신체, 국가를 그리다 - (1) 신체, 국가를 그리다 - (1) 상하의 혈맥이 일철(一徹)함이 이 일신동체도와 같다.─가이에다 노부요시, (1889) 의문의 그림 로렌츠 폰 슈타인(Lorenz von Stein, 1815~1890)은 지금은 그다지 주목받고 있지 못하지만 그는 일본 헌정사에 지대한 영향을 준 인물이었다. 이토 히로부미가 1882년부터 다음해까지 유럽으로 헌법조사를 갔을 때 빈 대학에서 강의를 들었던 것이 슈타인이었다. 이토는 당시 유명했던 그나이스트(Rudolf von Gneist), 모세(Albert Mosse)등의 강의 역시 들었지만, 단연코 그를 감동시킨 것은 슈타인의 강의였다. 이는 이후 이토의 소개로 많은 정치가들과 학자들이 슈타인의 강의를 듣게 된 점에서도 확인된다. 1887년부터 1888년에 유럽에 건너가 .. 2019. 4. 4.
[나쓰메 소세키의 질문들] 『한눈팔기』, 가족 안에서 내가 원하는 삶을 찾을 수 있을까? 『한눈팔기』 - 미증유의 공기가 폐 속으로 들어왔다가족 안에서 내가 원하는 삶을 찾을 수 있을까? 가족이라는 인연의 무게 “나는 금년에 죽을지도 모른다.” 소세키는 새해를 맞아 보내는 연하장에 이렇게 썼다. 감기 한 번 걸리면 몇 개월을 바깥출입을 못할 정도로 몸이 많이 쇠약해졌다. 말이 씨가 되었는지 소세키는 그 다음 해 세상을 뜬다. 죽음의 그림자가 다가오고 있음을 어렴풋이 예감하는 사람은 어떤 글이 쓰고 싶어질까. 소세키는 따뜻한 볕이 들어오는 유리문 안에서 수필을 썼다. 그는 어릴 적 부모에 대한 기억을 담담하게 추억한다. 유년기의 기억을 소환해낸 수필집 의 한 대목이다. 아사쿠사에서 우시고메로 옮겨진 당시의 나는 어째선지 무척 기뻤다. 그리고 그 기쁨은 누구나 쉬이 알 아볼 정도로 뚜렷이 밖으로.. 2019.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