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양고전 이야기 ▽214

[내인생의주역 시즌2] ‘쫓지 않음’으로 완성된다 ‘쫓지 않음’으로 완성된다 水火 旣濟 ䷾ 旣濟 亨小 利貞 初吉終亂. 기제괘는 작은 일에 형통하다. 올바름을 굳게 지키는 것이 이로우니, 처음에는 길하고 끝에는 어지러워진다. 初九, 曳其輪 濡其尾 无咎. 수레바퀴를 뒤로 잡아당기고 여우가 그 꼬리를 적시면 허물이 없다. 六二, 婦喪其茀 勿逐 七日得. 부인이 그 가리개를 잃은 것이니, 쫓아가지 말라. 그러면 7일 만에 얻으리라. 九三, 高宗伐鬼方 三年克之 小人勿用. 고종이 귀방을 정벌하여 3년 만에야 이겼으니, 소인은 쓰지 말아야 한다. 六四, 繻(濡)有衣袽 終日戒. 배에 물이 스며들며 젖으니 헌옷가지를 마련하고 종일토록 경계하는 것이다. 九五, 東隣殺牛 不如西隣之禴祭 實受其福. 동쪽 이웃이 소를 잡아 성대하게 제사지내는 것이 서쪽 이웃이 간략한 제사를 올려.. 2021. 2. 17.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5) 더보기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1) - 『노자』라는 책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2) - 노자는 누구인가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3) - 『노자』의 판본_1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4) 『노자』의 판본_2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5) 『노자』의 주석 1 - 왕필 주 『노자』에 주석을 단 책 가운데 오래되어 가치가 있는 것으로 세 종류를 들 수 있다. 왕필의 주석과 하상공의 주석 그리고 상이주가 중요하다. 한비자의 「유로」와 「해로」는 앞서 설명했으므로 제외하기로 한다. 1. 왕필 주 왕필의 주가 가장 널리 통용되고 왕필의 주를 읽는 것이 실질적으로 『노자』를 읽는 일이라고 앞에서 언급했다. 왜 왕필의.. 2021. 2. 5.
[내인생의주역 시즌2] 시작할 때의 어려움, 욕심을 다스려라 시작할 때의 어려움, 욕심을 다스려라 水雷 屯 ䷂ 屯, 元亨, 利貞, 勿用有攸往, 利建侯. 둔괘는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롭다. 나아갈 바를 두는 것을 하지 말아야 하고, 자신을 도와줄 제후를 세우는 것이 이롭다 初九, 磐桓, 利居貞, 利建侯. 초구효는 주저하는 모습이니, 그 자리에 머물면서 올바름을 지키는 것이 이롭고, 제후를 세우는 것이 이롭다. 六二, 屯如, 邅如. 乘馬班如, 匪寇婚媾, 女子貞不字, 十年乃字. 육이효는 막힌 듯해서 머뭇거리며, 말을 탔다가 말에서 내리니, 도적이 아니면 혼인할 짝이 오리라. 여자가 올바름을 지켜서 시집가지 않다가 십 년이 되어서야 자식을 키우게 된다. 六三, 卽鹿无虞, 惟入于林中, 君子幾, 不如舍, 往吝. 육삼효는 사슴을 쫓는데 사냥터지기 없이, 숲 속으로 들.. 2021. 2. 3.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4) 『노자』의 판본_2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4) 『노자』의 판본_2 (이전 글 보기) 앞에서 세 종류의 판본을 간단하게 언급했지만 『노자』의 판본을 얘기하려면 다음에 설명할 두 판본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논의 편의상 왕필본을 중심에 두었는데 백서본과 죽간본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앞의 주석본을 판본으로 간주한 것이지 이 두 판본이 아니었다면 노자의 판본을 따로 거론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고고학의 중요한 성과인 두 판본이 발굴되면서 현재 통용되는 텍스트들을 ‘판본’으로 보는 관점이 성립했다는 말이다. (세번째로 언급한 상이본도 고고학상의 발굴로 이 부류에 넣어야 온당할 것이다.) ④ 백서본(帛書本) 백서노자(帛書老子)라고도 불린다. 1973년 중국 후난성(湖南省) 장사(長沙)부근 마왕퇴(馬王堆)라는 곳.. 2021.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