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명43

나를 안다는 것, 내 삶을 안다는 것 - '불편한 진실'과의 조우 예전에는 친구와 다툴 때 곧잘 “넌 날 잘 몰라”라는 말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 이면에는 ‘난 이러이러한 사람인데 넌 사람 볼 줄 모르는구나?’하는 마음이 숨어 있었지요. 그런데 생각해 보면, 저도 저를 잘 몰랐습니다. 애니어그램, 별자리, 혈액형, 동물점 등등. 당시 유행하는 심리 테스트는 꼭 해봐야 직성이 풀렸고 점성술에 관심이 많아 타로 카드 책을 사서 공부하기도 했지요. 그런데도 여전히 ‘나’라는 존재를 설명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런데 올해 초, 제 모습을 발견하게 된 계기가 있었습니다. 저는 제 자신을 마주하고 싶다며 일년 과정의 공부를 호기롭게 시작했습니다. 수업에는 매번 암기를 해오는 쪽지시험이 있었지요. 1등은 못해도 상위권은 따 놓은 당상인 줄 알았는데(이것이 바로 몹쓸 환상이죠-_-) .. 2011. 11. 17.
불타는 병화, 은은한 정화 트러블 메이커, 나는 팬이다 -병화(丙火) - 박형(감이당 대중지성) 병화는 양(陽) 의 화(火)로서 태양 같은 큰 불입니다. 태양같이 뜨겁고 강한 불이라면 어떤 성격으로 나타날까요? 아마도 분위기에 따라 불같이 타오르며 자기를 표현하는 사람일 것입니다. 야구장에서도 이렇게 불같이 타오르면서 자신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이 있습니다. 확 타올랐다가 폭발하는 정열적인 사람들. 바로 각팀의 팬들입니다. 팬들은 병화(丙火)의 성질을 가졌습니다. 팀을 불같이 타오르게 응원합니다. 정열적인 응원은 선수들에게 큰 힘을 주지요. 선수들은 분위기가 쳐져 있다가도 팬들의 응원에 힘을 받아 게임을 다시 반전시키기도 합니다. 병화(丙火)의 에너지가 선수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을 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화의 에너지가 지나치게 .. 2011. 11. 1.
게임을 주도하는 갑목, 흐름을 읽는 을목 - 박형(감이당 대중지성) 천간이라 함은 하늘의 기운을 말합니다. 하늘을 구성하는 기운인 만큼 가볍고 활발하게 운동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죠. 그러나 이런 성질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우리의 감정, 행동, 생각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천간의 기운을 목, 화, 토, 금, 수 오행에 따라 10개의 형태로 표현했습니다.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申(신), 壬(임), 癸(계) 저는 이 10개의 천간 기운을 알기 쉽게 풀어 보기 위해 야구를 이용해 보겠습니다. 천간은 천신 예(羿)가 아홉 개의 해를 쏘아 버리기 전 하늘에 존재하던 열 개의 태양에서 유래했다.게임의 리더 투수-갑목(甲木) 천간은 10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 2011.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