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1270

믿음은 비움에서 나온다 - 풍택중부 믿음은 비움에서 나온다 이번에 살펴볼 괘는 풍택중부(風澤中孚)다. 풍택중부는 ‘믿음’을 말하는 괘로 수택절의 뒤에 위치한다. 수택절에서 때에 맞게 절도를 가지고 행동하니 풍택중부에서 믿을 수 있다. 풍택중부는 주역 64괘 가운데 61번째 괘로 끄트머리에 자리 잡고 있다. 이제 3개만 더 가면 하나의 스텝이 완성되는 중요한 시기다. 한데 도(道)가 높으면 마(魔)도 높다고 마무리를 방해하는 갖가지 장애가 발생한다. 이때 가장 필요한 게 믿음이 아닐까. 주역 64괘를 온전히 끝마치겠다는 믿음! 그래서 61번째 자리에 풍택중부가 있는지도 모른다. 풍택중부를 공부하면서 나는 언제 누군가를(혹은 무엇을) 믿는지 생각해보았다. 국가, 종교, 가족, 친구, 스마트폰 등등 정말 많은 믿음이 내 안에 있었다. 한데 그 .. 2016. 2. 25.
[대학] 치국, 비록 적중하지는 못할지라도 과히 멀지는 않은 것 정치는 갓난아기를 보호하듯이 - 여보적자(如保赤子) - 대학의 핵심은 뭐니 뭐니 해도, 推己及人(추기급인)이다. 나를 훌륭한 인간으로 만드는 것으로부터, 나라를 다스리는 것, 그리고 그것이 천하를 평안케 하는데 까지 이어지게 하는 것이 推己及人(추기급인)이다. 그래서 대학의 8조목은 격물에서 시작해서 평천하로 끝나고, 전의 구성도 8조목이 본말의 구도로 이어져있다. 이번 연재는 8조목 중에서 治國(치국)이다. 齊家(제가) 다음, 治國(치국). 제가가 本(본)이고 치국이 末(말)이다. 齊家治國(제가치국)장의 첫 문장은 이렇게 시작한다. 이른바 “나라를 다스리는 것이 먼저 그 집안을 다스리는데 있다”라고 한 것은 그 집안을 가르치지 않고서, 다른 사람을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은 없었다. 그러므로 군자는 집을 .. 2016. 2. 24.
영화 〈위플래쉬〉앤드류와 플렛처, 승자는 누구인가? 영화 〈위플래쉬〉 박진감에 가려진 우울을 봐야 한다 나는 극장엘 가지 않는다. 그렇지만 영화 보는 걸 좋아하기는 한다. 아무 때나 돌려볼 수 있고, 마음에 드는 장면을 반복해서 볼 수도 있으며, 지루해서 견디지 못할 것 같은 때에는 나가서 커피라도 한 잔 타서 올 수 있는 '방'에서 영화를 보는 것이 좋다. 이건 어쩌면 '세대'의 문제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게 무슨 영화든) '영화'를 보는 것이 재미있다고 처음으로 느꼈을 때가 중요한데, 나에게 그런 순간은 초등학교 때, 집에서, 비디오로 영화를 봤을 때이기 때문이다. 학교에 갔다가 돌아오면 식탁에는 2~3천원 쯤 되는 돈과 엄마가 써놓은 편지가 놓여져 있었다. 그 돈을 가지고 비디오 가게에 가서 영화 한편을 빌리고, 비디오 가게 옆에 있던 슈퍼에.. 2016. 2. 23.
"사람 이야기에선 돈이 빠질 수 없는 노릇이다" 『신의 축복이 있기를, 로즈워터씨』 "제기랄, 착하게 살아야 한다" 대충 '도덕'에 대한 어렴풋한 관념을 갖게 된 시절부터 지금까지, 단언컨대 단 한 번도 그에 호감을 가져본 적이 나는 없다. 이른바 도덕적 명제들에 관해 떠올려보면 '지켜야 한다'는 느낌보다는 '왜 그런 거지' 싶은 생각이 언제나 더 강하게 든다. 그렇다고 해서 나의 일상생활이 도덕적으로 타락했다거나 그런건 아니다. 다만 나는 '지켜야 한다' 또는 '지켜라'라는, 당위나 명령의 형식이 가끔 못 견디게 답답할 때가 있다. 그런 형태의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또는 (자의식이라는) '감시자'가 상정된 형태의 양식이 아닌 무언가가 분명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말하자면, 내가 '도덕'이나 그로부터 딸려 나오는 당위, 명령들을 몹시 싫어한다고 하더.. 2016.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