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1275

[임신톡톡] 임신 7~8개월, 혼백이 노닐다 일곱 여덟째 달, 혼백(魂魄)이 노닐다 에베레스트 산도 자란다 중‧고등학교 때 지구과학이나 지리수업은 나에게 있어 썩 재미있는 공부는 아니었다. 딱딱한 이론과 통계치, 숫자들의 배열, 실생활과는 무관한 것 같은 그림들. 그래서 그런지 그때 배운 기후, 지형, 식생, 토양 등에 대한 내용은 거의 머리에 남아 있지 않다. 요즘 오운육기와 세계지리를 횡단하는 세미나를 하면서 지리에 대해 재발견하는 중이다. 우리는 오대양 육대주, 산, 사막 등이 모두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은 모두 잘못된 생각이었다. 우주가 지구를 낳고, 지구는 또다시 대륙과 해양을 만들어내고, 거기서 또 다양한 형태의 지형을 탄생시키고 있었다. 고정되어 있을 것 같은 땅덩이도 인간이 아이를 창조하는 것처럼 계속 새로운 것을 창.. 2015. 2. 12.
"부처님은 상황에 따라 한 말씀씩 하셨을 뿐이다" 『낭송 선어록』부처님은 상황에 따라 한 말씀씩 하셨을 뿐이다 한 스님이 운문화상에게 물었다. “부처님이 일생토록 펼친 가르침은 어떤 것입니까?” 운문화상이 말했다. “상황에 따라 한 말씀씩 하셨을 뿐이다.” ― 문성환 풀어 읽음, 『낭송 선어록』, 91쪽 불경뿐 아니라 스승과 제자 사이에 오고간 이야기들을 풀어놓은 동양고전들을 읽어보면 ‘스승님’들이 여기서는 이러셨다가 저기서는 저러셨다가 하는 듯한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논어』에는 아주 콕 집어서 그걸 문제 삼는 제자와 공자님께서 나눈 문답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쩔 때는 ‘뭐 어쩌라는 거야’하는 불손한 마음이 들기도 하지요. ^^; 그런데 그게 바로 이른바 서양철학과는 다른 동양철학(사상)의 독특한 점입니다. 상황과 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유연함이 사.. 2015. 2. 11.
담헌 홍대용 ⑤ 『의산문답』 성리학을 넘어선 인간의 조건 홍대용의 『의산문답』: 다른 우주, 다른 세상 우주의 이치로 세상의 이치를 꿰뚫다 1. 중국 여행 그 후, 『의산문답』 담헌 홍대용에게 중국 여행의 후폭풍은 상당히 거셌다. 항주 선비들과의 필담을 묶어 편찬하고, 여행기를 쓰는 정도에서 끝나지 않았다. 중국 여행은 담헌의 사유를 바꾸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박제가에 의하면 청나라에서 돌아와 담헌은 수리와 기하 연구에 완전히 몰입했다고 하는데, 『주해수용』이라는 수리학 책의 편찬은 그 결과물이었다. 담헌은 또 실용적 지식을 정리하는 일에 머물지 않았다. 중국에서 얻은 깨달음으로 인하여 천문과학의 이치를 궁구하는 동시에 이것으로 세상의 이치까지 꿰뚫는 작업을 시도했다. 그 결산물이 『의산문답』이다. 『의산문답』은 중국과 조선의 경계에 놓인 ‘의무려산’을 배.. 2015. 2. 10.
서백호 출판기념회 스케치 - 서백호, 호랑이 기운으로 낭송해요~ 낭송Q시리즈 서백호편 출판기념회 스케치서백호편 출간을 축하하며, 낭송 낭송해요~ 낭송Q시리즈의 서백호편이 출간된 즈음, 공교롭게도(?) 과 이 터를 잡고 있는 깨봉빌딩 2층의 리모델링 공사도 완료되었지 뭡니까. 이 겹경사를 축하하기 위해 2월 7일 토요일에 서백호편 출간기념회와 오픈하우스 파티를 열었습니다! 2월 뉴스레터에서도 소개를 해 드렸는데요, 그 덕분이었을까요? 많은 분들이 와 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식순에 따라 의 상영으로 1부가 시작되었습니다. '차마고도'는 중국의 '그' 차마고도가 아니옵고, "차마 하기 어려운[苦] 고생길[道]"의 차마고도입니다(;;). '차마고도'의 자세한 사연이 궁금하시다면 저희 블로그 오른쪽 하단의 'MVQ 블로그' 배너를 클릭하셔서 찾아보셔요. '차마 하기 어려.. 201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