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1275

한나라의 기반을 닦은 최초의 여장부, 여태후 태평성대의 기반을 독하게 마련한 사람 여태후(呂太后) 여후는 사람됨이 강직하고 굳세어 고조를 도와 천하를 평정했으며 대신들을 주살할 때도 여후의 힘이 컸다. 중 중국사에 등장한 첫 번째 여장부 여태후! 사마천은 남자들의 올곧은 품성을 묘사할 때 주로 쓰는 단어인 剛(굳셀 강)과 毅(굳셀 의)를 여태후에게 증정함으로써 ‘치마 입은 대장부’로서의 여태후를 드러낸다. 아버지 여공(呂公)은 어린 시절부터 그녀의 ‘비범함’을 눈여겨보았고 꼭 귀인에게 시집보내리라 마음먹고 있었다. 그런데 이 여공이 패현에 왔다가 만난 호걸(건달?) 유방(훗날 고조)을 보고 단박에 그의 귀한 딸을 내주었다. 왜? 그만한 호상(好相)을 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딸이 진정 귀인이 되기까지는 힘겨운 투쟁이 기다리고 있었다. 여.. 2015. 8. 18.
더운 여름날을 식혀줄 차갑고 시원한 우물의 지혜 - 수풍정 더운 여름,차고 시원한 우물의 지혜 어떠세요? 어릴 적, 학교 가는 길에 우물 하나가 있었다. 탱자나무로 둘러 쌓여있는 작은 우물이었는데 식수용이 아니라 동네 아주머니들이 빨래하거나 청소를 하는 데 쓰는 것 같았다. 가끔 호기심이 일어서 우물 밑을 내려다보면 바닥은 보이지 않고 검은 물만 고여 있었다. 물속에서 무언가(?)를 찾으려고 한참을 째려보다가 누군가가 등 뒤에서 밀어버릴 것 같은 두려움에 지레 놀라 뒷걸음질 쳤던 기억이 난다. 사람이 자주 찾지 않는 오래되고 낡은 우물의 음산한 기운 탓이 아니었을까? 아니면 우물을 배경으로 나왔던 한 공포영화의 영향인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내게 우물은 어둡고 음침한 장소로 남아있다. 하지만 그 옛날 우물은 사람들에게 생명수를 제공하는 고마운 존재였다. 물을 긷.. 2015. 8. 13.
어릴 적'에는' 책 읽기를 참 좋아했지요 책에 관한 최초의 기억? 중학교 시절의 추억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당시 근처에 있던 포병 공창(군수품을 제조하고 수리하는 공장)을 둘러싼 벽돌담이다. 나는 매일 그 길을 따라 학교에 다녔다. … 집을 나서서 에도 강을 따라 이다바시의 다릿목까지 가서, 거기서 전찻길을 따라 왼쪽으로 꺾어져서 한참 가다 보면 왼쪽에 포병 공창의 붉고 긴 벽돌담이 나온다. 그 담장은 끝없이 이어지는데 … 그 길을 오갈 때 늘 책을 읽으며 걸었다. 히구치 이치요, 구니키다 돗포, 나쓰메 소세키, 투르게네프도 그 길에서 읽었다. 형 책, 누나 책, 내가 산 책을 가리지 않고 이해하거나 말거나 닥치는 대로 읽었다. 구로사와 아키라, 『자서전 비슷한 것』, 모비딕, 2014. 86-88p 출판사 직원이라고 하면 왠지 어릴 적'부.. 2015. 8. 12.
편집자k의 드라마극장] 오 나의 귀신님, 강선우 셰프의 정체!! 그런데 말입니다, 강선우 솊, 그는 정말 양기남일까요? 안녕하셔요. 편집자 k입니다. 웬만해서 최신 드라마 이야기는 잘 하지 않는 저이지만, 이번 아이템은 뭔가 누군가에게 빼앗기기(?) 전에 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에 마음이 조급해졌지요. 이번 드라마는 조정석, 박보영, 김슬기 주연의 TVN 금토드라마 입니다. 8월 8일까지 12부를 찍었으니 아직 4회차가 더 남아 있는, 팔딱팔딱 싱싱한(?) 드라마입죠. 귀신 중에서도 가장 한이 깊다는 처녀귀신이 ‘오 나의 귀신님’인데요. 멜로드라마와 기억상실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설정이라 그런지 이 처녀귀신 김슬기(신순애 役)는 자신이 어떻게 죽었는지 기억하지 못합니다. 그런데도 자신이 처녀귀신이라는 것을 확신(?)하고 있다는 점은 참 이상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 2015.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