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92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가의 영업 비밀? 독자의 독서 비밀! 오자와 세이지X무라카미하루키, 『오자와 세이지 씨와 음악을 이야기하다』 - 소설가의 영업비밀? 오자와 : 글의 리듬이란 건 우리가 그 글을 읽을 때 읽으면서 느끼는 리듬인가요? 무라카미 : 단어의 조합, 문장의 조합, 딱딱함과 부드러움, 무거움과 가벼움의 조합, 균형과 불균형의 조합, 문장부호의 조합, 톤의 조합에 의해 리듬이 생깁니다. 폴리리듬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몰라요. 음악과 마찬가지인 겁니다. 귀가 좋지 않으면 불가능하죠. 그게 가능한 사람은 가능하고,불가능한 사람은 불가능합니다. (중략) 전 재즈를 좋아하니까, 그렇게 리듬을 확실하게 만들어놓고 거기에 코드를 얹어 임프로비제이션을 시작한단 말이죠. 자유롭게 즉흥을 해나가는 겁니다. 음악을 만들 때하고 같은 요령으로 글을 씁니다. - 오자와 세이.. 2016. 8. 3. 『삼국사기』 속 고구려의 폭군들 - "이것은 백성의 원수라!" 통치자의 초상 : 정치란 무엇인가? ③ ❙ 잔인한 모본왕의 말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왕의 됨됨이가 기록되어 있다. 인품과 지혜를 갖춘 왕과 포악스럽고 모자란 왕. 다스려지고 다스려지지 않는 것은 이들 왕의 됨됨이에 달려 있다. 특이한 것은 포악스럽고 잔인하면서 모자란 왕들은 예외 없이 신하들에 의해 제거된다는 사실이다. 고구려는 포악한 왕을 용납하지 않았다. 이런 자는 신하들과 백성의 적일 뿐, 천하가 섬기는 왕일 수 없다는 논리가 「고구려본기」를 관통한다. 맹자가 말하지 않았는가? “잔인무도했던 하나라의 걸왕과 은나라의 주왕과 같은 통치자는 일개 평범한, 사나운 남자에 불과하므로 이들을 죽여도 모반죄가 되지 않는다.” 맹자에게 이런 왕은 마땅히 교체되어야 하는 게 정의였다. 고구려 시대, 맹.. 2016. 8. 2. 〈디어 마이 프렌즈〉의 '주현', 그것이 알고 싶다 〈디어 마이 프렌즈〉 마성의 남자 주현을 ‘또’ 발견!! 얼마 전 “역대급”이란 찬사를 받으며 종영한 그 드라마, 네, TV 좀 보셨다 하는 분들이시라면 바로 아실 겁니다. 노희경 작가의 〈디어 마이 프렌즈〉(이하 ‘디마프’) 말입니다. 늘 화제를 몰고 다니는 고현정이라는 배우의 출연 소식이 무색해질 만큼 ‘시니어벤저스’의 총출동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는데요. 네, 소식을 들은 저 편집자 k의 가슴도 두근두근 발랑발랑하였습니다. 실은 제가 노희경 작가의 (수줍은 팬임에도 불구하고, 흠흠) 전작인 〈괜찮아, 사랑이야〉나 〈그 겨울 바람이 분다〉를 좀 시큰둥해했었는데요, 그 이유를 〈디마프〉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앞선 두 작품에는 뭔가 도드라지는 노년의 캐릭터가 없었더라구요. 생각해 보니 저는 노희경 작가.. 2016. 8. 1. 뉴욕과 허먼 멜빌② 콘크리트 심해에 숨겨진 고래 찾기 콘크리트 심해, 그 신화를 찾아서 (2) : 뉴욕과 허먼 멜빌 ❙ 콘크리트 정글의 파(派) 뉴요커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뉴욕을 극도로 사랑하는 도시파, 뉴욕을 극도로 싫어하는 자연파. 도시파는 뉴욕의 돈이 만들어내는 자유를 좋아한다. 돈이 모이는 곳에 사람이 모이고, 사람이 모이면 욕망이 숨 쉴 틈새공간이 생긴다. 뉴욕처럼 다양한 인종, 직업, 성별, 취미에 개의치 않는 곳은 없다! 그러나 자연파는 뉴욕에서 화폐를 얻기 위해 치러야하는 대가를 끔찍하게 여긴다. 그들의 목표는 돈을 모아서 뉴욕을 탈출하는 것이다. 여유로운 자연(교외) 생활이 목표다. 나는 어느 쪽도 아니다. 굳이 말하면 내 일상이 곧 뉴욕이라고 믿는 ‘생존파’다. 완벽한 일상이란 없고, 일상의 뉴욕은 늘 이 양극 사이를 왔다 갔다 할.. 2016. 7. 29. 이전 1 ··· 570 571 572 573 574 575 576 ··· 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