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67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나의 처방약은 ‘연대’ 나의 처방약은 ‘연대’ 3등_박현정 “행복해지는 약 주세요.” “여기 있습니다.” 『인문약방』이라는 제목에 호기심이 생겨 약방문을 두드려보았다. 이 약 복용법은 책 속에 있는데 사람마다 복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시중에서 파는 ‘한 알’ 만병통치약처럼 효과 빠른 약제를 알려주지는 않았다. 대신 느린 약방이다. 『인문약방』은 현직 약사가 들려주는 병과 삶, 앎에 관한 이야기책이다. 『인문약방』 제목처럼 사람(人)과 공부(文)에 관한 처방전이 많았다. 현대인의 병증 치료제로 ‘약을 대신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도 커져갔다. 나는 요즘 주변 사람들에게서 걱정스럽게 듣는 말이 있다. 행복해 보이지 않다는 거다. 그래서 상담을 권유받아 심리상담도 받았다. 그러나 그 때 뿐이었다. 연말 연초를 지.. 2022. 5. 27.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앓다’에서 몸과 마음의 ‘만남’으로 ‘앓다’에서 몸과 마음의 ‘만남’으로 3등 - 탁금란 『아파서 살았다』는 ‘류머티즘과 함께한 40년의 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제목만 보면 오창희 작가의 투병기로 착각할 만하다. 5부로 구성된 목차를 봐도 대학 2학년 스물한 살 봄에 류머티즘을 앓기 시작해서 명약을 찾아다니는 10년의 투병 생활, 인공관절 수술 후 병과의 동행을 인정한 10년의 삶, 그리고 자립을 위한 좌충우돌의 10년, 몸의 주인으로 거듭나는 10년을 보내고 있는 작가의 삶을 보여준다. 40년 동안 류머티즘과 고군분투한 저자의 삶이 무겁게 다가올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책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작가의 삶에 동반 출연한 어머니, 아버지, 형제들, 조카들, 외육촌 언니까지 확장되는 대가족의 서사가 있고, 작가를 건강한 삶의 주인.. 2022. 5. 26.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스스로 치유하는 시간 스스로 치유하는 시간 3등 - 강평옥 나는 하루 평균 스무 통이 넘는 업무 전화를 고객, 관계사, 내부 직원들과 한다. 사무실에 있을 때뿐만 아니라 출장, 휴가 중일 때도 예외가 없다. 전화를 끊고 나면 자료를 확인한 후 피드백하느라 운전 중 신호대기 때마다 핸드폰을 들여다보거나 정차한 뒤 업무를 보느라 마음이 급하고 머리에 쥐가 날 지경이다. 일하다 생긴 머리, 목, 어깨 통증에 손쉽게 진통제를 찾는다. 중년이 되면서 일이 점점 힘에 부치고 회복 탄력성도 떨어지고 있다. 예전에는 비타민만 먹었는데 건강에 대한 불안감에 이제는 좋다는 영양제를 아침마다 한 주먹씩 털어먹고 있다. 『인문약방』의 저자 일리치 약국 김정선 약사는 산업화로 인한 습관이 병을 만들고 있으니 진통제, 영양제만 너무 믿지 말고 스스로.. 2022. 5. 26.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건강에 예민한 대가, 의원병 건강에 예민한 대가, 의원병 3등 - 이영순 팬데믹 이후, 기저질환자가 코로나에 취약하다는 뉴스를 접하며 우리 부부는 유별나달 정도로 방역지침을 철저히 따랐다. 면역력에 도움이 된다는 건강보조제도 열심히 챙겨 먹었다. 내 나이 오십도 되기 전 고혈압 약을 복용하다보니 건강을 염려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남편도 나이가 들면서 건강에 예민해져서 몸에 좋다면 비싼 약을 냉큼 사오기도 하고, 이상증상이 감지되면 득달같이 병원으로 달려갔다. 그런데 『이반 일리치 강의』에서는 이런 걸 의원병이라고 말한다. 내가 의원병이라고? 게다가 의원병은 스스로의 몸을 자율적으로 돌보는 능력을 상실하게 만든다고 한다. 나와 가족의 건강을 돌보기 위해 신경쓰고 살았는데 내가 한 건 자율적으로 돌보는 게 아니었나? 책을 읽으며 의원.. 2022. 5. 26. 이전 1 ··· 200 201 202 203 204 205 206 ··· 8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