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평론9

[미야자키하야오-일상의애니미즘] 증오를 이기는 흔들림 《원령공주》 ③ 캐릭터 증오를 이기는 흔들림 숲에는 얼굴이 있다 《모노노케 히메》의 캐릭터 창조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은 고매한 신에서부터 비루한 인간까지 각자의 감정이 풍부하게 묘사된 점에 있다. 이전까지 미야자키는 해적인 할머니라든가 정원사 거신병, 저주에 걸린 돼지 인간 등 비인간적 캐릭터의 다양한 실험을 해 왔다. 그리고 《모노노케 히메》에서는 숲에 사는 다양한 신들, 정령들이 품고 있는 다양한 감정의 깊이를 표현하는 데 도전을 한다. 특히 미야자키가 주목하는 감정은 증오다. 미야자키는 증오의 다양한 수준을 보여준다. 차례로 살펴보자. 맨 먼저 엄청나게 화가 많이 난 멧돼지 신 나고가 등장한다. 온몸의 구멍이란 구멍에서 물속 장어처럼 힘차게 약동하는 분노의 촉수들은 사방으로 먹잇감을 찾듯 뻗어 나간.. 2024. 2. 1.
[미야자키하야오-일상의애니미즘] 그대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그대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당신의 아이는 당신의 아이가 아니다. 그들은 인생 자체의 아들이며 딸이다. 그들은 당신을 통해서 오지만 당신으로부터 온 것이 아니다. 그들은 당신과 함께 있지만 당신에게 속한 것은 아니다. 당신은 그들에게 사랑을 줘도 되지만 당신의 생각을 주어선 안 된다. 그들의 마음은 당신이 방문할 수 없는, 꿈속에서도 방문할 수 없는 내일의 집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칼릴 지브란) 미야자키 하야오를 찾아라!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가 개봉하고 많은 이들이 작품을 감독의 자전적 이야기로 해석했다. 여기에는 한국 개봉일 직전에 일본 지브리에서 진행된 스즈키 도시오의 인터뷰(링크)도 한몫을 했다. 스즈키 도시오가 주인공을 이끄는 왜가리-남자는 자신이며, 순수하게 탑을 계속 쌓아나가.. 2023. 11. 23.
[청량리발영화이야기] 우연이라는 결과 우연이라는 결과 제너럴 The General (1926) | 감독 버스터 키튼 | 주연 버스터 키튼, 마리온 맥 | 84분 | 명절이 되면 으레 티브이에선 머털도사 아니면 성룡의 영화를 방영했었다. 특히 성룡영화는 집안의 어른부터 아이들까지 한데 모이게 만드는 인기프로였다. ‘성룡영화’의 특이점은 엔딩크래딧과 함께 보여주는 ‘NG모음’이었다. 영화라는 게 원래 각본과 연출에 의해 원하는 장면을 반복해서 촬영하고 편집하는 영상물이다. 그러니 NG모음은 사실 성룡영화만의 무엇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너무나 위험해 보이고 아슬아슬한 명장면들이 대역도 없이 수많은 반복과 실패 뒤에 나왔다는 사실은 성룡영화에 리얼리티와 진정성을 부여했다. 같은 위치에서 같은 동작을 연출하기 위해 끊임없이 몸을 던지지만 이번.. 2023. 1. 17.
[청량리발영화이야기] 함께 그러나 불안정하고 모호한 함께 그러나 불안정하고 모호한 결혼이야기 Marriage Story(2019) | 감독 노아 바움백 | 주연 스칼렛 요한슨, 아담 드라이버 | 137분 | 통상적으로 ‘가족’은 결혼으로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주거와 생계를 유지하는 단위로서의 ‘가구’와는 달리 가족은 혈연이나 혼인 등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가족을 구성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가구와 가족의 구별은 사적 사회구성의 서로 다른 형태일 뿐, 그 구성원(들)의 밀도나 결속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내밀함’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 않을까. 쉽게 말해, 현관문을 열면 바로 방이 보이는 ‘원룸’구조와 현관문, 중문, 방문, 전실을 통해 들어가야 하는 ‘안방’이 다르게 배치되는 이유다. 가족이라.. 2022.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