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603

성(聖)가정으로부터 탈주하라 성(聖)가정으로부터 탈주하라 결혼 전부터 난 가정에 대한 나름의 롤모델이 있었다. 바로 가톨릭에서 말하는 ‘성(聖)가정’. 근엄하지만 사랑이 넘치는 하느님 아버지, 온화하고 희생적인 성모마리아, 그런 아버지와 어머니의 보살핌으로 구원받는 자식들. 이렇게 구성된 가족 삼각형이 내가 꿈꿔오던 이상적인 가정의 이미지였다. 그래서 결혼할 때 직장부터 그만두라는 시아버지의 일방적인 통보도 별 말 없이 따를 수 있었다. 시댁 어른들에게 복종하고 남편과 아이들을 열심히 케어하는 게 나의 역할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스스로를 억압하면서 또 한편으론 원하는 가정을 만들고 지키기 위해 나의 기준을 다른 사람들에게 강요했다. 불교신자였던 시어머니를 가톨릭으로 개종시키고 남편에게는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을, 아이들에게는.. 2019. 11. 8.
금강경, 나(我相)를 비추는 거울 금강경, 나(我相)를 비추는 거울 금강경은 무엇이든 깨뜨리는 다이아몬드와 같은 지혜로 중생의 어리석음과 번뇌를 깨뜨리는 경이다.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제도하는 보살의 삶’을 사는 이들을 위한 경전이다. 금강경과의 첫 만남은 금강경을 독송하기만 해도 눈앞에 벌어진 힘든 일이 해결된다는 이야기로부터였다. 내 인생 사십 대 초반에 벌어졌던 이혼이라는 과정을 건너며 금강경을 많이도 읽었다. 그렇지만 고단했던 법적 절차를 거치고 또 세월은 흘러 피부로 느껴지는 고통스러운 일들이 서서히 줄어들자 이 경을 잊고 살았다. 십 년이 지나서 불교 경전 공부를 하는 도중 아상(我相)으로 나는 금강경을 다시 만났다. 나는 간호사 1명이 근무하는 작은 의원의 내과의사.. 2019. 11. 7.
한나라를 감싸는 훈훈한 바람, ‘양생’의 바람 한나라를 감싸는 훈훈한 바람, ‘양생’의 바람 유방의 넷째 아들, 변방의 제후에서 황제로! 소제를 허수아비 황제로 세우고 스스로 황제라 칭했던 여태후가 죽었다. 권불십년(權不十年)! 여씨의 한나라를 만들고 싶었던 여태후의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카 여산과 여록에게 천하를 지켜달라 당부했으나. 여태후의 죽음과 함께 여씨 천하는 막을 내리고 만다. 태위 진평과 승상 주발은 여록에게 병권을 빼앗은 뒤 유장을 앞세워 여씨들을 제거하고, 소제와 3명의 동생을 비밀리에 모두 죽인다. 그리고 고조 유방의 넷째 아들이자 박희의 소생인, 대왕 유항을 황제로 옹립한다. 이렇게 ‘문제’는 변방 대나라의 제후에서 황제로 등극했다. 인생사 한 치 앞도 알 수 없고, 운명의 엇갈림은 오묘하기 짝이 없다. 문제와 그 어머니의.. 2019. 11. 6.
[청년동의보감] 결정 장애 세대 결정 장애 세대 예전에 사귀었던 남자친구가 헤어질 때 했던 말이 있다. “넌 왜 하고 싶은 게 없어? 하다못해 같이 먹고 싶은 것도 없고, 그냥 다 좋다고만 하잖아.” 만나는 동안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다고 했던 나대신 모든 결정을 대신해야 했던 그. 그동안 쌓였던 불만을 한꺼번에 표출한 것이다. 이 말을 듣고 난 후, 그야말로 멘붕이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니 친구들 사이에서도 막상 내가 나서서 뭔가를 결정한 경험은 없었다. 그냥 다 괜찮은데…, 딱히 별 고민이 없었던 나에게 그 말은 여러 가지 질문을 던져주었다. 내가 하고 싶은 것,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하나? 호불호가 강하지 않은 성격이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고민이었다. 그리하야, 각종 심리 검사를 동원했다. MBTI며 애니어그램 등, 하다못해.. 2019. 11.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