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608

낭송 조선왕조실록 풀어 읽은이 인터뷰1 - 태조, 태종 실록 낭송 조선왕조실록 풀어 읽은이 인터뷰1『낭송 태조실록』 풀어 읽은이 정기재 인터뷰 1. 조선왕조실록은 역사적 기록물인데, 낭송으로 읽는다는 것이 무척 새롭게 느껴집니다. 이번 낭송Q시리즈 조선왕조실록편에서 선생님께서는 어떤 인연으로 태조실록을 풀어 읽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어려서부터 옛이야기를 좋아해 사학과에 진학했습니다. 졸업 후 잡지사에 근무했을 때에도, 여행 기사를 쓸 때마다 문화유산 답사코스를 염두에 두곤 했고요. 때문인지 조선왕조실록이 한글로 번역되어 인터넷에 공개된다고 했을 때, 언젠가는 꼭 읽어보겠노라 다짐했습다. 그리고 그 다짐이 실현된 건 10여 년이 지난 후인 2013년의 일입니다. 지금 공부하고 있는 감이당에서 조선왕조실록을 읽을 학인을 모집했고, 그에 함께하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 2017. 10. 27.
낭송Q시리즈 조선왕조실록편이 출간되었습니다! 낭송Q시리즈 조선왕조실록편이 출간되었습니다!『낭송 태조실록』·『낭송 태종실록』·『낭송 세종실록』·『낭송 성종실록』 저희가 지난 9월에 이사를 해서 사무실을 옮겼는데요. 이곳이 어딘고 하면 10분만 걸어 나가면 경복궁이 있는 곳입니다. 저희 북드라망의 첫 사무실은 사간동에 있었는데, 사무실에서 경복궁의 동문인 건춘문이 바로 보이고, 경복궁 경내도 눈에 들어오고, 인왕산도 보이는…, 정말이지 뷰 하나만 참으로 좋았던 곳이었습니다. 거기를 떠나올 때는 그 사무실이 너무 춥고, 책 나르기도 힘들어서(엘리베이터가 없는 4층) 섭섭함 없이 시원한 마음뿐이었는데, 또 지나고 나니 가끔 그때의 뷰가 그리워지기도 합니다. 좌우간 저희가 경복궁과 인연이 있어서였을까요? 이번 책은 낭송Q시리즈 시즌2의 연장 ‘조선왕조실록편.. 2017. 10. 26.
강함剛, 거울같은 마음 강함剛, 거울같은 마음 子曰 吾未見剛者. 或對曰 申棖. 子曰 申棖也 慾 焉得剛.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아직 강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어떤 사람이 대답하였다. “신장(申棖)이 있습니다.”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신장은 욕심이 있는데 어떻게 강하다고 할 수 있겠느냐.”-《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편 10장 - = 한자 풀이 == 구절에 관한 주석들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지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하겠는가? 나라면 누구에게든 친절한 사람이라고 할 것 같다.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노인들은 나를 편히 여기고, 친구들은 나를 신임하고, 젊은이들은 나를 그리워하게 하고 싶다.”(「공야장」편 25장) 젊은 사람부터 나이 든 사람에 이르기까지 모든 세대를 아우르고 싶어한 공자. 실제.. 2017. 10. 25.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이란 무엇인가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새뮤엘 스마일즈, 『자조론』 ‘생명’이라는 말의 등장 몸, 신체란 무엇인가에 대한 사유방식은 시대와 장소에 따라 늘 변하기 마련이다. 앞서 살펴보았던 해체 신서와 양생훈의 차이는 이를 보여준다. 외부의 영향 속에서 자유로운 신체, 관계에서 떨어져 나온 독립된 신체, 그럼으로써 탄생하는 지켜야 할 몸이라는 관념. 이처럼 우리가 사유하는 몸이란 하나의 고정되고 객관화된 실체가 아니라 세계관에 따라 늘 끊임없이 변화하고 구성되는 산물이다. 생명이란 개념 역시 마찬가지다.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생명이라는 말은 근대 들어와서 번역과정을 통해 새롭게 등장한 말이다. 물론 이전에 생명이란 말 자체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생명(生命)이라는 말은 원래 하늘로부터 받.. 2017.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