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617

『내 인생의 주역』 지은이들 인터뷰 『내 인생의 주역』 지은이들 인터뷰 1. 『내 인생의 주역』에서 『주역』을 ‘존재의 GPS’라고 이야기하고 계십니다. 실제로 여덟 명의 저자가 『주역』을 삶의 GPS로 삼아 이 책을 쓰셨는데요. 저자 선생님들에게 『주역』은 어떤 책인지 선생님들 각각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장현숙 : 『주역』은 지금, 여기의 내 행위와 마음을 묻는 책이다. 박장금 : 『주역』은 나밖에 모르는 협소한 시선에서 벗어나 실상과 마주하게 하는 ‘우주적 렌즈’다. 안상헌 : 『주역』은 내 삶의 방향을 ‘밖에서 안으로’ 바꾸게 해준 책이다. 특히 중지 곤괘 육삼효의 ‘함장가정’(含章可貞)은 과거 내가 추구했던 세상의 제도를 바꾸려 애쓰는 삶에서 ‘안으로 아름다움을 품는 삶’으로 내 삶의 가치를 바꾸게 해주었다. 이성남 : 나에게.. 2020. 6. 26.
[신간] 『내 인생의 주역』이 출간되었습니다! 이제 ‘인생 주역’을 만날 시간! ― 8인의 필자가 주역 64괘를 통해 써나간 공부와 삶의 실전 보고서, 『내 인생의 주역』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오늘 저희가 독자님들의 ‘인생 주역’(이 될 것이라 확신하옵는)을 소개해 드립니다!감이당 금성(금요 대중지성)에서 온갖 장애와 구박과 유혹과… 기타 등등의 환란 속에서도 공부를 놓치 않고 해오신 여덟 분의 필자 선생님들이 쓰신 『내 인생의 주역』입니다! 짝짝짝! 『내 인생의 주역』은 지금까지 시중에서 볼 수 있었던 『주역』 책과는 완전히 다른 결의 『주역』 책으로, 『주역』 64괘를 8인의 필자가 8괘씩 나누어 괘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자신의 공부와 삶을 연결시킨, (아마도) 세계 최초의 『주역』-생활에세이이자, (또 아마도) 세계.. 2020. 6. 25.
[생생동의보감] 내 몸의 곳간을 비우는 법 내 몸의 곳간을 비우는 법 『동의보감』을 읽다보면 병과 치료가 구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토(吐), 한(汗), 하(下), 토하거나 땀을 흘리거나 설사하는 것은 병증이다. 그런데 때에 따라서 이것이 치료법이 될 수 있다. 병이 상부에 있을 때는 토하게 하고 중간에 있을 때는 땀 흘리게 하며 아래에 있을 때는 설사시킨다. 계절에 따라 이 처방을 달리하는 것도 재미있다. 봄에는 토(吐), 여름에는 한(汗), 겨울에는 하(下)가 어울린다. 병은 대개가 담음(痰飮)으로 생긴다. 담음이란 진액, 즉 몸의 수분이 졸여져서 뭉친 것인데 이것이 진액의 흐름을 막고 기혈의 순환을 막아 온갖 병이 생기는 것이다. 그래서 십병구담(十病九痰)이라는 말도 있다. 간질이나 두려움 등 정신질환도 담음의 일종으로 본다. .. 2020. 6. 24.
[쿠바리포트] 코로나를 ‘뻬스끼사’ 하라(2) -커뮤니티, 바이러스를 걸러내는 마법의 필터 코로나를 ‘뻬스끼사’ 하라(2) - 커뮤니티, 바이러스를 걸러내는 마법의 필터 지금 나는 내 구역 주민들의 이름을 거의 다 외웠다. 이름뿐인가. 몇 명이 한 집에 사는지, 연령대는 어떠한지, 친하게 지내는 이웃은 누구인지, 가족 분위기는 어떠한지도 대충 알게 되었다. 두 달이면 충분한 시간이었다. 매일 동일한 내용을 필사하는데다가 하루도 빠지지 않고 얼굴을 보기 때문이다. 이제 주민들도 나와의 거리가 좀 가까워졌다고 느끼는지, 어떤 할머니들은 커피를 건네거나 나를 붙잡고 아침 수다를 떠신다. 습하고 끈적거리는 날씨를 피해 얼른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나로서는 좀 곤란하다. 그래도 호기심 때문에 떠나지 못할 때가 더 많다. 6호 아파트 할머니의 아들은 에콰도르에 살면서 약을 보내주는데 지금 국경이 막혀서 곤.. 2020.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