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성인류학4 『녹색 자본론』 리뷰 _ ‘숲’에서 모노의 목소리를 듣다 『녹색 자본론』 리뷰 _ ‘숲’에서 모노의 목소리를 듣다 박규창(고전비평공간 규문)1. 곤경에 처한 예술과 사상 2001년 9월 11일 뉴욕 맨해튼에 있는 세계무역센터에 두 대의 항공기가 충돌했다. 이슬람 원리주의 조직 알 카에다의 소행이었다. 그로부터 5일 뒤 9월 16일, 독일의 작곡가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은 기자회견에서 9‧11 테러를 두고 “최고의 예술작품”이라고 말해 큰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다음날부터 예정되었던 공연 계획이 줄줄이 취소되었고, 사실상 사회적 공간에서 추방당했다. 나카자와 신이치는 이 사건을 다르게 기록했다. 《녹색 자본론》의 세 번째 글 〈슈토크하우젠 사건―안전영역에 포섭된 예술의 시련〉이 그것이다. 그가 보기에, 슈토크하우젠은 9‧11 테러를 지지한 것도, 극찬한 것도 .. 2025. 8. 6. 『녹색 자본론』 리뷰 _ ‘대칭성 사회’의 일원이 될 결심 『녹색 자본론』 리뷰 _ ‘대칭성 사회’의 일원이 될 결심 성민호(고전비평 공간 규문)“포르도는 끝장났다.” 지난 달, 이란의 지하 핵시설을 완전히 파괴한 후 트럼프는 선언했다. 하메네이는 은둔했고 사실상 항복했다는 뉴스가 퍼졌다. 중동 최강국이자 이슬람 세계의 기둥인 이란이 무력하게 무너졌다. 서구적 ‘국제질서’가 다시 승리를 거뒀다. 전면전으로 번지지 않아 다행이라는 안도감이 드는 한편, 일종의 망연함이 가슴에 남았다. 이 슬픔의 정체는 무엇일까? 고조된 전운이 해소되고, ‘무법적’ 핵개발이 억제되고, 어쨌든 다시 ‘평화’가 도래했는데 왜 나는 이리도 울적한 걸까?우선적인 이유는 이란이라는 나라에 대한 개인적 친밀감 때문일 것이다. 7년 전 나는 규문의 친구들과 한 달 간 이란을 여행했다. ‘소-생 .. 2025. 8. 5. “타자에 대한 감수성과 이해의 상실이 비대칭 상황을 낳았다” “타자에 대한 감수성과 이해의 상실이 비대칭 상황을 낳았다” 이 신화에는 일본도(日本刀) 같은 새로운 기술력이 곰과 인간 사이의 대칭성을 파괴하는 시대가 나타나 있다. 활과 화살로 사냥을 할 때, 곰과 인간은 대개 호각으로 싸워 왔다. 그 상태가 압도적인 기술력을 손에 넣은 인간에 의해 파괴되고 만 것이다. 인간은 동물의 존엄 같은 것은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생각도 하지 않게 되었다. 곰은 이러한 인간에게 정정당당하게 결투를 신청한다. 인간과 곰은 싸우고, 결국 둘 다 죽는다. 이런 신화의 내용은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태를 매우 잘 암시하고 있다. 손에 쥔 압도적인 힘을 믿고 ‘빈곤한 세계’의 주민들을 무신경하게 대한다면, 인간들은 결국 한 마리의 동물과도 만나지 못할 것이다. 타.. 2025. 8. 4. [임신톡톡] 임신, 자연지를 기르고 만나는 시간 몸과 우주가 만나는 시공간- 열 달 동안 태 기르기 - 비밀지(秘密智)와 자연지(自然智) 멕시코의 고원지대에 사는 위촐족은 ‘페요테 사냥’이라는 특이한 의식을 치르는 것으로 유명하다. 선인장의 일종인 페요테에는 강력한 환각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선인장은 아무 곳에나 있는 것이 아니다. 마을에서 멀리 떨어진 산속까지 가지 않으면 페요테를 발견할 수가 없다. 그래서 해마다 위촐 사람들은 원정대를 구성해 페요테 사냥을 위한 길을 떠난다. 원정대에는 이 사냥길에 처음으로 참가하는 젊은이도 포함되어 있다. 이 젊은이들은 태어나서 처음으로 페요테의 환각작용을 체험하는 셈이므로, 신성한 식물을 만나는 자격을 얻기 위해 아주 혹독한 이니시에이션의 시련이 부과된다. 마시는 것도 먹는 것도.. 2014. 11.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