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이예술8

[한문이예술] 한자의 바다에서 작고小 약한 것弱을 길어올리기 한자의 바다에서 작고小 약한 것弱을 길어올리기 수많은 한자들 중에서 오늘날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는 2천자에서 5천자 정도 된다. 3천자 정도의 간극이 있긴 하지만 이미 30개 남짓 되는 한글이나 알파벳에 비하면 과하게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자가 사용된 6000년이 넘는 시간동안 만들어졌다가 사라진 문자만 해도 5만자(!)가 넘고, 같은 뜻을 가졌지만 형태가 다른 한자들까지 더하면 8만자(!!)가 넘는다고 한다. 이쯤되면 한자를 만든 사람도 무슨 한자가 있는지 절대 모를 수준이다. 게다가 새로운 형태의 갑골문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고 하니 한자의 갯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정말이지 한자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어떻게 지금까지 계속 사용되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그런데 .. 2024. 2. 23.
[한문이 예술] 昔, 어떤 과거는 오래된 극복이다 昔, 어떤 과거는 오래된 극복이다 하고 싶은 말 언젠가 한 친구가 나에게 물었다. "선생님은 왜 선생님을 하기로 했어요?" 짧은 순간이었지만 여러 생각이 스쳤다. '내가 선생이었나?'부터 '내가 선생이어도 될까?', 그리고 '내가 어쩌다 선생이 되었지?'라는 물음으로 이어졌다. 나는 질문한 친구에게 되물었다. "왜 그런 질문을 했을까?" 친구는 "그냥 궁금해서요."라고 했지만 곧이 곧대로 듣기에는 조금 찔리는 부분들이 있었다. 내가 선생이라기엔 하고 다니는 행색이 너무 선생답지 않았나? 수업이 별로인가? 아니면 (그럴 것 같진 않지만) 혹시라도 너무 '선생'같은가^^?? 스스로 선생이라기보다는 학생이라고 생각해온 시간이 훨씬 길어서 그런지 친구의 질문에 쉽게 대답할수 없었다. 하지만 내가 에서 아이들 앞.. 2024. 1. 15.
[한문이 예술] 어떤 표현을 할 것인가? : 한자의 색色에서 몸짓祭까지 어떤 표현을 할 것인가? : 한자의 색色에서 몸짓祭까지 어떻게 수업할 것인가 은 한문으로 예술藝術을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름에서부터 벌써 미술 활동의 느낌이 물씬 풍긴다. 그런데 정작 수업을 여는 나는 미술, 예술과 아주 가까운 사람이 아니었다. 한자도 주입식으로 암기해왔던 내가 어쩌다가 초등한자-미술수업이라는 퓨전수업을 만들어 냈던 것일까? 그 배경에는 한자를 보며 막연히 갖고 있던 상상을 시각화 한 작업이 있기 때문이었다. 의 원문을 읽다가 비슷한 시기에 에 참여하면서 를 기획하게 되었고 모두 합쳐 7개의 작품을 만들어냈다. 작업은 그야말로 ‘재미’있었다. 내 눈에 보이는 한자를 하고 싶은 대로 옮겨서 그걸 실현하는 과정 자체가 재미있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었다. 들을 청聽은 한자를 악보기.. 2023. 12. 11.
[한문이 예술] 가랑비에 옷 젖듯 한자를, 雨 문탁 네트워크에서 공부하시는 이동은 샘의 [한문이 예술] 연재를 시작합니다! [한문이 예술]은 문탁넷의 고은샘과 동은샘께서 초등학생 아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셨던 한문 수업 이름인데요, 바로 그 동은샘께서 수업을 준비하면서 또 진행하면서 느끼셨던 내용들을 이렇게 글로 써주셨답니다. 지금 바로 만나보시죠! 가랑비에 옷 젖듯 한자를, 雨 연필을 부러뜨리고 머리를 쥐어 뜯게 만든 한자 17살 여름, 한자능력검정시험 4급을 땄다. 8급부터 4급까지 누적되는 시험 출제범위가 딱 1000자였에 나는 그 날부터 한자 1000자를 외운 사람이 되었다. 물론 국가공인으로 인정되는 급수는 아니었지만 1000이라는 숫자가 주는 무게감은 상당했다. 그 무게를 들어 올린 내가 얼마나 감격스러운지! 지금까지 한자를 통해 겪었던 고.. 2023. 1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