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22

영화 〈위플래쉬〉앤드류와 플렛처, 승자는 누구인가? 영화 〈위플래쉬〉 박진감에 가려진 우울을 봐야 한다 나는 극장엘 가지 않는다. 그렇지만 영화 보는 걸 좋아하기는 한다. 아무 때나 돌려볼 수 있고, 마음에 드는 장면을 반복해서 볼 수도 있으며, 지루해서 견디지 못할 것 같은 때에는 나가서 커피라도 한 잔 타서 올 수 있는 '방'에서 영화를 보는 것이 좋다. 이건 어쩌면 '세대'의 문제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그게 무슨 영화든) '영화'를 보는 것이 재미있다고 처음으로 느꼈을 때가 중요한데, 나에게 그런 순간은 초등학교 때, 집에서, 비디오로 영화를 봤을 때이기 때문이다. 학교에 갔다가 돌아오면 식탁에는 2~3천원 쯤 되는 돈과 엄마가 써놓은 편지가 놓여져 있었다. 그 돈을 가지고 비디오 가게에 가서 영화 한편을 빌리고, 비디오 가게 옆에 있던 슈퍼에.. 2016. 2. 23.
마일즈 데이비스, 《Kind of Blue》- 재즈의 새로운 시작 마일즈 데이비스, 1959년 콜럼비아 레코드 음반 《Kind of Blue》 재즈 트럼펫 연주자 마일즈 데이비스(Miles Davis, 1926.5.25. ~ 1991.9.28)는 그의 음악과 삶을 통해 오늘날 재즈라는 단어 자체를 표상하는 불멸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 시대의 많은 재즈 뮤지션들이 그랬던 것처럼 마일즈도 마약을 비롯하여 수많은 여성들과의 애정행각은 물론 때로는 폭력적인 언행으로 그에 대한 인상을 얼룩지게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는 자신의 음악에 대해서만은 평생 동안 엄격함과 냉소적인 태도로 끊임없이 새로운 음악을 추구했던 진정한 아티스트였다. 그가 남긴 재즈 음악을 듣다보면 신선하고 깊이 있는 아름다움의 향기에 빠져들게 되고 새로운 음악을 위해 치열하게 살아간 마일즈 데이비스에게 경의를.. 2015. 12. 18.
[원일의 락락] creep보다 값진 시도, 라디오헤드의 〈KID A〉 RADIOHEAD 원일의 락락(樂樂)은,음악을 즐기다(락악), 즐거움을 음악하다(악락), 즐겁고 즐겁다(락락), 음악을 흔들어라(Rack樂) 모두를 의미하는, 원일 선생님의 음반소개코너입니다. 어떤 사람에게 평생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음악(가)들이 있다. 듣는 순간 온 몸을 얼어붙게 만들고 형언키 힘든 미궁에 빠트리는 그런 음악들이. 라디오헤드의 를 처음 듣는 순간이 그랬다. 음악 장르로 구분하자면 는 일렉트로닉스 앰비언트 록이다. 기타와 드럼 위주의 전형적인 록밴드 편성을 완전히 벗어난, 라디오헤드의 정규 4집 음반이다. 솔직히 나는 이 앨범을 듣기 전까지 라디오헤드에게 별 흥미를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당시(2000년) 신해철이 진행하는 FM 의 신보 소개 코너에서 흘러나오던 를 듣고는 충격을 금치 .. 2015. 3. 25.
중국의 수(數), 건축과 음악과 우주를 말하다 중국사유와 수, 세번째 이야기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가리킬 때, 사람들은 보통 우주, 자연, 세계 같은 말들을 사용한다. 그래서 이런 용어들이 엄밀하게 구분되지 않은 채, 대개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한 이론이나 철학들이라는 의미로 우주론, 자연학, 세계관 등등이 유통된다. 근대 서구철학의 구도에서는 이런 지칭들이 존재론이라는 말로 통할된다. 존재론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의 실재란 무엇인지, 그것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변하는지 등을 탐구한다. 이를테면 기독교는 창조론에 기반을 두고 존재론을 구성한다. 이 구조에서는 초월적인 신의 세계와 현실 피조물들의 세계 간에 넘을 수 없는 간격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기독교적 세계관은 다의적 세계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 2013.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