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607 바깥은 없다, 오직 골목길에서_카프카 읽기 바깥은 없다, 오직 골목길에서 지금이 아니면 언제, 내가 아니면 누가? 당신들이 우리를 아는가? 우리는 게토의 양들, / 천년 동안 털이 깎이고 모욕을 당한 양들. / 우리는 십자가의 그늘에서 시들어가는 / 재봉사요, 필경사요, 선창자들이지. / 이제 우리는 숲속의 오솔길을 익혔다네. / 총 쏘는 법을 배웠다네. 정확히 목표물을 맞히지. / 내가 나를 위하지 않는다면 누가 나를 위할까? / 그렇게 하지 않으면 어떻게? 지금이 아니면 언제? 우리는 다윗의 자손이요, 마사다에서 끝까지 저항하던 사람들. / 우리는 모두 주머니에 돌을 가지고 다닌다네. / 골리앗의 이마를 산산조각 낼 돌을. / 형제들이여, 묘지가 된 유럽을 떠나라. / 약속의 땅을 향해 함께 배를 타자. / 다른 인간들 속에서 인간으로 살아갈.. 2018. 3. 22. 케이트 윌헬름,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 세대를 가르고 흐르는 강 케이트 윌헬름,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세대를 가르고 흐르는 강 2018년 3월 1일은 오랜만에 잘 닦은 유리처럼 날이 쨍했다. 시야가 맑고 투명했고, 햇빛은 공기를 뚫고 직선으로 내리꽂혔다. 본따 오려낸 것 같은 그림자들이 발밑에서 춤을 추었다. 만물의 가장자리가 먹선으로 그은 듯 또렷한 날이었다. 바람도 많이 불었다. 살갗을 할퀴는 공기가 유난히 차고 날카로워, 나는 낮 볕이 따사로운 걸 알면서도 연신 옷깃을 다시 여몄다. 시내 대로를 따라 오래 걸었다. 뺨이 에이고 손이 곱아오기 시작할 즈음 비로소, 잠깐 몸을 녹일 겸 종로타워에 들어갔다. 잠깐만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우리 시대의 유명한 격언이 말하듯이, “들어올 땐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땐 아니란다.” 나는 의도치 않게 그 안에.. 2018. 3. 21. 솔직함, 혼돈을 살기 솔직함, 혼돈을 살기 그녀에 대해 알고 있는 두세 가지 것들 누군가 내게 여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라고 한다면, 나는 어떤 말들을 할 수 있을까? 내 경험에 비추어보면, 여자들은 보통 ‘주변’을 중요시한다. 남자들은 모두 얼마간 자기 혼자만의 망상에 빠져 산다. 텅 빈 관념에 사로잡히거나 자기원칙만 고집하거나 허황된 꿈을 좇는다. 때문에 어딜 가도 관계에 무능한 쪽은 대개 남자다. 그에 비해 여자들은 훨씬 현실적이다. 옆 사람의 기분이나 상태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거대한 망상에 사로잡히기보다는 자신의 현실적인 조건 속에서 손에 쥘 수 있는 것들을 추구한다. 그 때문에 세속적인 가치에 더 많이 붙들리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지나치게 연연하고, 모두와 잘 지내야 한다는 강박에 시달리는 .. 2018. 3. 20. 『아파서 살았다』- 연민의 종류들 『아파서 살았다』- 연민의 종류들 나를 ‘불쌍히’ 보는 그 눈길이 생명 에너지를 잃게 만드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었나 보다. 이미 통증과 여러 가지 행동 장애로 힘이 빠진 상태에 ‘불쌍하다’는 그 한방이 날아온 것이다. 물론 청정한 연민은 자비의 모습을 띠게 되고 그것은 사람이 가져야 할 덕목이기도 하다. 그러나 연민에는 탁한 마음이 끼어들기 쉽다. 상대적 우월감이나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 같은 것. 자기 연민이건 상대에게 연민을 느끼건 이런 삿된 기운이 끼어들면 그것은 부정적인 힘으로 작동한다. 그날의 한 판 싸움은 어쩌면 위기에서 나를 지키고자 한 생명 차원에서의 반응이었는지도 모르겠다.오창희, 『아파서 살았다』, 52~53쪽 탁한 마음이 끼어들지 않은 ‘연민’을 갖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이것은 .. 2018. 3. 19. 이전 1 ··· 473 474 475 476 477 478 479 ··· 9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