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593

풀어주고 자유롭게 하라! 그 속에 시간의 춤이 있다 - 뇌수해 뇌수해 풀어주고 자유롭게 하라! 그 속에 시간의 춤이 있다 매달 마지막 주 금요일 두 시. 운기잡스 세미나 회원들은 다큐멘터리 영화를 본다. 커튼을 내리고 작은 창문에는 암막을 둘러쳤다. 저마다 자리를 잡고 편한 자세로 영화를 본다. 등을 기대려는 벽파가 있는가 하면 아예 드러누운 사람도 있다. 영화가 시작되자 여기저기서 한마디씩 한다. “소리가 안 들려. 뭐래?”“귀가 안 좋아. 쯧쯧.”“가만있어 봐. 안 들리잖아.”“나 과자 녹여 먹고 있어.” 오늘 영화는 스피커 소리가 작다. 테스트로 설치할 때만 해도 소리가 들을만했는데 사람이 꽉 차니까 그 사람들이 내는 소리로 나레이터의 목소리가 잘 안 들린다. 갑자기 영화에서 어떤 남자가 기타를 치면서 노래를 부른다.“노래 부르네. 이때 과자 먹어!”까르르 웃.. 2015. 4. 23.
[편집자 k의 드라마극장] 참바다씨의 유일한 TV 드라마 '토지'를 기억하시나요? = 편집자 k의 드라마극장 =구기동에서 스친 유해진 스페셜 (부제 : 유해진이 맞을 겁니다. 아마도~) 저 유해진(존칭은 생략할게요;;;) 봤습니다!!!(응?) 때는 지난 4월 19일 일요일, 비가 부슬부슬 내렸던 점심 무렵이었습니다. 아침 겸 점심으로 구기동의 두부집에서 밥을 먹고 나온 길이었습니다. 앞에 우산을 받치고 덜렁덜렁 걸어오는 한 남자를 아주 설핏 보았을 뿐인데 설마 설마 하는 기분이 드는 것이었습니다. 예의가 아닌 줄은 알고 있었지만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다시 우산 속의 남자 얼굴을 싸~악 훑었습니다. 네, 바로 그였습니다. 표정 관리를 하지는 못했지만 더 이상의 결례를 할 수는 없었기에 스치고 나서야 옆에 있던 남편에게 작은 소리로 말했습니다. “유해진, 유해진!!” 북한산에 자주 출몰(?.. 2015. 4. 22.
낭송Q페스티벌에서 만날 수 있는 프로페셔널 낭송단 공개!! 낭송Q 페스티벌, 흥 있는 '낭단'과 함께 해요 올 봄 ‘장자방’으로 자리를 옮겼다. 장자방의 위치는 깨봉빌딩 2층이다. 장자방 문에는 도서관이라는 이름이 붙어있다. 하지만 조용하고 우아하게 앉아서 책을 읽는 도서관이 아니다. 장자방은 도서관하면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이미지를 홀딱 깬다. 사람들이 수시로 오가다보니 간식과 수다가 끊이지 않는 곳, 조금만 귀 기울이면 감이당에서 진행하는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곳, 소파가 구비되어 있어 푹 쉬고 잘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도서관, 서점, 쉼터, 대기실 등등 두루두루 이용되고 있다. 이곳을 지키고 있는 시만이(시연, 만수의 줄임말)도 장자방과 비슷한 팔자다. 헐투어, 헐필름, SM엔터테인먼트 기획사 대표, 가보세 알바생, 장자서점 주인, 낭송페스티벌 준비위원.. 2015. 4. 21.
북현무 출판기념회 스케치 in 문탁 파지사유 북현무 출판기념회 스케치 in 문탁 파지사유 기다리고 기다리던 북현무 출판기념회! 뉴스레터에서 예고해 드렸던 대로 이번에는 남산 필동이 아닌 용인 수지의 문탁! '문탁'이 궁금하신 분들 계시겠지요?저희 블로그 오른쪽 하단에 있는 사이드 바 맨 밑 달력 바로 위를 보시면 '문탁'으로 연결되는 배너가 있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니 얼른 직접 가서 둘러들 보시구요.(혹시나 못찾으실 독자님들을 위한 문탁으로 가는 링크를 여기에도 추가합니다ㅎㅎ) 문탁은『낭송 장자』를 풀어 읽으신 이희경 선생님과 『낭송 대승기신론』의 김혜영 선생님, 『낭송 사기열전』의 나은영 선생님께서 활동하시는 공부+마을 공동체입니다. 특히 북현무편을 담당하신 선생님 두 분이 함께 계셔서 이번에는 문탁으로 고고씽했던 것이지요. 서울에서 '김기사.. 2015.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