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96

강하기만 하면 부러진다더라?! 을(乙)목 박장금(감이당 연구원) 갑목을 타고 올라가는 을목의 모습은 이런 느낌일까요? ^^ 을목은 목(木)의 두번째 단계입니다. 갑(甲)목은 시작하는 힘이라고 했습니다. 물론 을(乙)목도 시작을 한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을목은 갑목 다음에 오는 힘입니다. 스프링(spring)처럼 뚫고 나오는 힘은 한 번으로 족합니다. 계속 그런 압력이 필요하지 않지요. 계속 튕겨져 나오기만 해서는 안 되는 것이죠. 튕겨져 나온 후엔 적은 압력으로 시작단계를 이어갑니다. 그러니 을목은 시작의 완성이라고 보면 됩니다. 앞에서 보았지만 갑목은 너무 시작하는 힘이 강해서, 비바람 같이 강한 힘이 올 때 부러지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그것만 보더라도 알 수 있듯이 계속 돌진만 하면 무너지게 됩니다. 을목은 이런 힘.. 2012. 5. 12.
내 마음의 썰물과 밀물 甲木 - 내 마음의 갑목 강민혁(감이당 대중지성) 단 몇 분만 마음을 지켜보라. 어찌 이다지도 많은 감정들이 밀려오고 쓸려 가는지. 알람소리에 안 떠지는 눈을 책망하는 느려터진 마음, 그래도 일어나야지 하며 방바닥을 일어서려는 마음, 셔츠 준비 안 해 놓고 뭐했냐며 아내에게 으르렁대는 이기적인 마음, 하지만 슬쩍 아내 눈을 보고 누그러뜨리는 마음, 출근 구두에 묻은 흙을 털며 오늘 하루를 비루해 하는 마음, 버스는 안 오고, 많아지는 출근 인파에 조급해지는 마음, 자리에 앉은 자들에게 불타오르는 이유 모를 적개심! 이 조그만 마음의 포구는 수천수만의 포말들과 그 포말에 비친 반사 빛들로 눈부시게 휘황찬란하다. 아, 이 수많은 마음들은 어디서, 어떻게 흘러와 내 연안에 밀려왔나? 마음들을 끌고 온 내 마음.. 2012. 4. 28.
꼭 암기해야 할 사주명리 기초 ⑦: 지지의 방합 안녕하세요. 만수입니다. 어제 예고한 대로 사주명리 기초를 연달아 공부해 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오늘은 지지의 합 최종편, 방합(方合)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자, 그럼 출바알↗ 방합은 방위가 같은 지지가 모여서 이루는 합입니다. 지지가 시간의 흐름이라는 것, 기억하고 계시죠? 3개씩 합이 된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삼합과 방합은 성격이 약간 다릅니다. 삼합이 지장간에 있는 공통 요소를 가진 합이라면 방합은 오행의 같은 방향과 계절에 속한 지지의 합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방합은 비슷한 성향의 지지들끼리 모여서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 모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삼합은 새로운 오행의 기운으로 변환되었지만, 방합은 그냥 기운만 세지는 형국이랄까요~ 아래 그림을 함께 보시죠! 東: 寅卯辰 合木 지지에 인.. 2012. 4. 12.
꼭 암기해야 할 사주명리 기초 ⑥: 지지의 합 오늘은 선거일이고, 공식적으로는 휴일이지만~ 학구열에 불타는 북드라망 블로그 애독자님들을 위해 충합의 마지막 편인 ‘지지의 합’에 관한 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함께 공부해보아요~^^ ☞ 지지의 충에 대해서는 여기를 참고하세요. 지지는 3개가 모여 합하는 삼합(三合)과, 오행이 다른 지지가 만나는 육합(六合), 지지방합(地支方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삼합부터 시작합니다! 알고 보면 유유상종 - 삼합(三合) 지지는 4방향으로 3개씩 위치합니다. 이 그림 기억나시죠? 색이 많아지고 숫자가 붙었지만, 우리가 지지하면 늘 떠올리던 그 그림입니다. 그럼 숫자와 색의 비밀을 풀어볼까요? 亥卯未 合木 해수, 묘목, 미토는 그림에서 각각 1, 2, 3번이 붙어 있죠. 1번에 있는 지지는 역마살, 2번에 있는 지.. 2012.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