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혜원3 『녹색 자본론』 리뷰 _ ‘대칭성 사회’의 일원이 될 결심 『녹색 자본론』 리뷰 _ ‘대칭성 사회’의 일원이 될 결심 성민호(고전비평 공간 규문)“포르도는 끝장났다.” 지난 달, 이란의 지하 핵시설을 완전히 파괴한 후 트럼프는 선언했다. 하메네이는 은둔했고 사실상 항복했다는 뉴스가 퍼졌다. 중동 최강국이자 이슬람 세계의 기둥인 이란이 무력하게 무너졌다. 서구적 ‘국제질서’가 다시 승리를 거뒀다. 전면전으로 번지지 않아 다행이라는 안도감이 드는 한편, 일종의 망연함이 가슴에 남았다. 이 슬픔의 정체는 무엇일까? 고조된 전운이 해소되고, ‘무법적’ 핵개발이 억제되고, 어쨌든 다시 ‘평화’가 도래했는데 왜 나는 이리도 울적한 걸까?우선적인 이유는 이란이라는 나라에 대한 개인적 친밀감 때문일 것이다. 7년 전 나는 규문의 친구들과 한 달 간 이란을 여행했다. ‘소-생 .. 2025. 8. 5. “타자에 대한 감수성과 이해의 상실이 비대칭 상황을 낳았다” “타자에 대한 감수성과 이해의 상실이 비대칭 상황을 낳았다” 이 신화에는 일본도(日本刀) 같은 새로운 기술력이 곰과 인간 사이의 대칭성을 파괴하는 시대가 나타나 있다. 활과 화살로 사냥을 할 때, 곰과 인간은 대개 호각으로 싸워 왔다. 그 상태가 압도적인 기술력을 손에 넣은 인간에 의해 파괴되고 만 것이다. 인간은 동물의 존엄 같은 것은 전혀 신경 쓰지 않고 생각도 하지 않게 되었다. 곰은 이러한 인간에게 정정당당하게 결투를 신청한다. 인간과 곰은 싸우고, 결국 둘 다 죽는다. 이런 신화의 내용은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사태를 매우 잘 암시하고 있다. 손에 쥔 압도적인 힘을 믿고 ‘빈곤한 세계’의 주민들을 무신경하게 대한다면, 인간들은 결국 한 마리의 동물과도 만나지 못할 것이다. 타.. 2025. 8. 4.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복약 기계 벗어나기 복약 기계 벗어나기 2등 - 구혜원 병원은 2,3년에 한번 가고 약은 잘 먹지 않는다. 가끔 기운 없을 때 쌍화탕을 털어먹긴 해도 진통제나 소화제를 먹은 일은 손에 꼽는다. 온갖 병원과 약을 섭렵한 내 친구들과 비교하면, 이상하게 그런 쪽과 연이 없는 편이다. 그래서 관심도 별로 없다. 그런 내가 을 읽은 이유는 제목이 재밌어서다. ‘약국’은 아무래도 이과의 공간인데 ‘약방’이라고 하면 신기하게도 그런 느낌이 덜하다. 거기에 ‘인문’이라고 하니까 처방전대로 약만 주는 게 아니라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나 사람 사는 정다운 말이 나올 것 같았다. 이것은, 북드라망 도서 중에서는 희귀한, 감성 넘치는 ‘힐링’ 도서가 아닐까? 그런 기대를 안고 책장을 넘겼다. 결론만 말하면 반은 틀렸다. 분명 이 책은 환자와 만.. 2022. 5.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