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청년, 사기를 만나다]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두려움의 정치학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두려움의 정치학규창(고전비평공간 규문) 1.역사가, ‘사실’에서 마음을 읽어내는 자 ‘역사가’라 하면 흔히 ‘사실을 기록하는 자’를 떠올린다. 틀린 말은 아니다. 역사가에게 ‘사실(fact)’은 언제나 중요하다. 문학은 때로 상상과 꾸밈을 통해 진실을 전달하지만, 역사는 그럴 수 없다. 역사는 ‘일어난 일’을 있는 그대로 기록해야 한다. 적어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史)라는 글자는 제사를 주관하는 제사장의 모습을 본뜬 글자다. 근대 이전에 제사란 하늘과 소통하는 인간의 기예였다. 어느 때에 어떤 제사가 효험이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일은 제사만큼이나 중요했다. 기록을 남겨야 후대가 참고해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소통’ 자체에 이미 해.. 2025. 11. 14. [박소연의 브라마차르야] 부끄럽고 부끄러운 마음으로 좌충우돌 청년의 에로스부끄럽고 부끄러운 마음으로박 소 연(남산강학원) 모든 MZ 세대가 『간디 자서전』을 꼭 한번 읽었으면 좋겠다. 청년들이 간디란 사람에 대해 알게 되기를 소망한다. 대뜸 이런 말을 하는 이유는 간디를 만나고서 내 삶에, 정확히는 삶을 대하는 마음가짐에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간디의 삶이 전하는 메시지는 연령 관계없이 깊은 울림을 준다. 그런데 청년과 간디의 만남은 그 울림들 가운데서도 특별히 짭짤한 맛이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십 대 초반에 간디를 만난 건 엄청난 행운이다. 간디와의 만남이 없었다면 지금의 편안함도 없을 거다. 몇 년 전이나 지금이나 우왕좌왕, 우당탕탕 사는 건 똑같다. 고민 많고, 허술하고, 미흡한데 자존심은 또 무척 센 나를 보며 착잡한 것도 여전하다.. 2025. 11. 13. [내가 만난 융] 어서 와, 마나-인격은 처음이지? 어서 와, 마나-인격은 처음이지? 서 윤 (사이재) 모습을 바꾸어가며 나는 무서운 힘을 행사한다 FaustⅡ, 5막 4장 中 융의 사유를 따라가다 보면, 마치 ‘도장 깨기’를 하며 무의식적 형상들의 영역을 지나 어디론가 나아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아주 더디게 중요한 과정이 진행되고 있는 듯한데 내 경험을 토대로 참여하고 있지 않다 보니, 뜬구름을 잡는 듯 미로를 헤매는 듯 막막한 게 솔직한 심정이다. 아직은 출구도 보이지 않고 실타래를 몰래 건네준 ‘아리아드네’도 없지만, 미로 속에서 계속 나아가고 있는 것만은 분명하다. 마나(Mana)는 움직이는 거야 돌이켜 보면, 아니마(Anima)/아니무스(Animus) 형상의 가설이 동양의 음양(陰陽)과 맥을 같이 하는 개념이라는 걸 이해했을 때, 어렵사.. 2025. 11. 12. [MZ세대를 위한 사주명리] 고집센 MZ의 사주명리 입덕기 고집센 MZ의 사주명리 입덕기 김 지 영(남산강학원) 내가 사주명리를 처음 만났을 때 지금도 똑똑히 기억한다. 사주명리에서 말하는 ‘팔자(八字)’를 내 눈으로 처음 본 순간을. 당시 감이당에서 사주명리 기본 수업을 듣고 있었다. 수업 첫 시간에 선생님은 명식(자신의 여덟 글자가 담긴 운명의 형식)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 주시며, 본인의 여덟 글자를 직접 확인해 보라고 했다. 생각보다 팔자를 확인하는 방법은 무척이나 쉽고, 간단했다. 핸드폰에 만세력 어플을 다운 받아서 생년월일만 입력하면 끝이라니. 오래된 책을 뒤져가며 뭔가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을 거치지 않을까 예상했는데,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사주명리와의 거리감이 조금 좁혀지는 느낌이었다. 어플에 생년월일을 입력하는 몇 초 동안, 나는 설렘과 두려움.. 2025. 11. 1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