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3 [나의 은퇴 이야기] 나의 은퇴 이야기 – 연결하고 소통하는 삶 나의 은퇴 이야기 – 연결하고 소통하는 삶 김태희(감이당 토요 대중지성) 나의 현역생활 – 몰아지경 2021년 4월 30일, 첫 회사에서 26년, 그리고 두번째 회사에서 6년, 합계 32년의 회사생활을 마감했다. 나의 직장생활을 한 마디로 압축하자면 인정 투쟁이었다. 회사의 기준, 구체적으로는 상사의 기준에 나를 맞추려고 애쓴 삶이었다. 일이면 일, 회식이면 회식 무엇을 하든 상사의 마음에 들게, 그리고 다른 사람보다 잘 하는 것이 목표였다. 이것만 잘 하면 대단한 능력이나 업적이 없어도 부서장이 될 수 있었고 운이 좋으면 경영층 진입도 어렵지 않았다. 이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는데 아직까지 잊히지 않는 선배의 조언이 있다. “임원 승진을 하고 싶으면 영혼을 버리라“는 것이었다. 살아 남으려면, 출세하.. 2025. 8. 11. 낮에는 조선의 백수, 밤에는 한국의 백수와 놀았다더라 백수와 함께한 시간, 晝朝白手 夜韓白手(주조백수 야한백수) ― 낮에는 조선의 백수, 밤에는 한국의 백수와 놀았다더라 가수의 운명이 히트곡의 노랫말을 따라간다는 이야기가 있다. 〈세월이 약이겠지요〉라는 곡으로 데뷔했던 송대관 아저씨가 세월의 약발을 받고 비로소 〈해뜰 날〉로 떠버렸던 것이나 장덕(이라고 아실랑가들 모르겠네요;;;)이 자신의 짧은 생을 예견하기라도 한 것처럼 〈예정된 시간을 위하여〉란 곡을 남기고 요절했던 것이 그러한 예로 회자되곤 했다(아, 회자된 것조차 과거형이라니;;;). 앗, 그러고 보니 가수는 아니지만 유재석과 서해안고속도로가요제의 히트곡 〈말하는 대로〉 역시 비슷한 예다. 어떤 이들은 그 원인을 말의 힘에서 찾기도 한다. 가수가 곡을 받고 그 노래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 이.. 2016. 2. 29. [씨앗문장] 연암과 박노해 - 한가지를 하더라도 분명하게, 아름답게. 연암은 말한다, "학문이란 별다른 게 아니"라고,박노해는 말한다, "얼마든지 아름답게 할" 수 있다고! 세상에 직업을 계획적으로 갖게 되는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내 주변만을 보자면 어쩌다 지금의 업을 갖게 된 사람이 훨씬 더 많은 것 같다. 그러니까, 이른바 "안정적"인 직업을 찾아 시험을 준비하거나 뭔가 대학원 같은 곳에 가서 공부를 더 해보고 싶었거나 (드물게) 몸 쓰는 일을 하고 싶었는데, 엉뚱하게 지금 자기의 책상에 붙박이게 된 것이다. 모르긴 몰라도 아마 꽤 많은 사람들이 지금 자신의 일이 맘에 들건 안 들건 '우연히' 지금 그 자리에 있게 되었을 거다.(살아 보니, 삶은 정말 계획 세운 대로 흘러가는 게 아니더라. 물론 그렇다고 계획이 쓸모없다는 말은 아니고. 쩝.) 하는 일이 '.. 2014. 7.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