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8세기조선2

남인백수 1세대, 성호 이익이 사는 법 ② 남인백수 1세대!성호 이익, '절용'과 '실용'을 사유하는 산림학자! 남인 백수 1세대, 성호 이익이 사는 법 ② 3. 안빈(安貧)과 자족(自足) "나는 가난한 사람이다. 가난하다는 것은 재물이 없음을 일컬은 것이니, 재물이란 부지런히 힘쓰는 데서 나오는 것이며, 부지런히 힘쓰는 것이란 어릴 적부터 익히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니, 내가 어찌 가난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 이익, 『성호사설』, 「食小」 책만 읽는 선비는 가난하다. 녹봉도 받지 않고 생산하는 일에도 종사하지 않으니 가난하게 사는 건 당연하다. 독서 자체는 아무런 생산의 힘이 없으니 선비는 가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선비들이 독서를 통해 글을 생산하는 경우야 다반사지만 글로는 먹고 살 수 없었다. 그러니 18세기 조선 땅에서 문장.. 2014. 6. 10.
남인백수 1세대, 성호 이익이 사는 법 ① 남인백수 1세대!성호 이익, '절용'과 '실용'을 사유하는 산림학자! 남인 백수, ‘성호’ 선비가 사는 법 ① 자! 이제 남인계의 백수 선비, 성호 이익(李瀷, 1681~1763)을 만날 차례다. 성호는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실학자, 중농학파(重農學派)라는 분류 아래, 현실 개혁에 힘쓴 학자로 유명하다. 근대가 시작된 이래, 조선의 학자들 중 반계 유형원(柳馨遠, 1622~1673),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2)만큼 각광받은 인물은 없었을 것이다. 적어도 이 세 학자는 봉건적인, 철저히 반근대적인, 실질은 없고 공리공론의 형이상학만 난무하는 조선에 실학이라는 하나의 광명을 비춘 존재들로 근대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조선에 내재한, 근대로의 행로[발전]는 바로 이 세 학자들 때문.. 2014. 5.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