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경열의 자기만의 고전 읽기46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5) 역사화, 혹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5)역사화, 혹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 독서, 보편성의 읽기와 역사성의 읽기 독서는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아니다. 권위에 복종하고 주어진 가치를 흡수하는 숭배가 아니다. 독자는 텍스트를 재구성하고 따져야 한다. 독서는 저항이다. 밖으로는 스마트폰이나 TV를 보지 않고 책으로 달려들기에 외부에 저항하는 행동이며 안으로는 집중력을 쏟아 책의 권위에 짓눌리지 않으려 버티기에 이중의 저항이다. 밖의 저항은 안으로 저항하는 힘에 보탬이 된다. 독서는 전적으로 의지로 밀고 가는 실천이기에 수동적일 수 없으며 자신의 불신을 유예시키기에 적극적인 참여다. 책을 덮으며 읽은 것을 재조립하고 감정반응을 점검하기에 독서는 끝났으되 끝나지 않고 반추되면서 새 독서가 시작된다. 일련의 피.. 2020. 11. 23.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4) - 절대언어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4)- 절대언어 경전과 절대언어 유학에서는 중심이 되는 주요 텍스트를 경전(經典)이라 부른다. 경학을 연구하는 학문을 경학(經學)이라 한다. 경전과 경학의 성립은 한(漢)제국의 발전과 나란히 진행되며 적어도 명분상으로 경전과 경학은 제국을 운영하는 기준으로 공고화되는 과정이기도 하다. 경(經)이란 말은 기준·중심·표준이란 의미를 품고 있기에 경전은 참조하고 의지해야 하는 고귀한 텍스트였다. 정치뿐 아니라 문화, 역사 등 사회 전반에 중추기능을 하게 된다. ‘이데올로기화되었다’라고 치부하고 넘어가기엔 간단하지 않은 역할을 맡은 것이다. 이런 까닭에 이전까지는 오래되었거나 훌륭한 책들로 전해진 존재들이 새롭게 권위를 입게 되어 상서(尙書)는 서경(書經)이 되고 구전가요 묶음.. 2020. 11. 6.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3) - 공자의 언어감각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3)- 공자의 언어감각 “나는 말 잘하는 사람을 미워한다” 공자가 말 잘하는 사람을 미워한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학이’(學而) 편에 “교언영색 선의인”(巧言令色,鮮矣仁)이라 해서 인(仁)과 대척점에 있는 악덕으로 교묘한 말재주[巧言]를 앞세우고 있으니 두말할 게 없다. ‘교언’은 여러 가지로 변주된다. 구변(口辯)이라 하기도 하고 이구(利口)라고도 하며 구급(口給)이라고도 하는데 녕(佞)이라는 한 글자를 쓰기도 한다. 다양한 표현은 교묘한 말솜씨가 많다는 의미이기도 하고 경멸감의 다른 말이기도 하다. 영인(佞人)은 공자가 싫어하는 사람 가운데 하나다. 공자 같은 유덕자(有德者)도 사람을 미워하나? ‘양화’(陽貨) 편에, 자공이 “군자도 미워하는 게 있습니까?”.. 2020. 10. 23.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2) - 주석가들 『논어』, 절대언어와 역사화 사이(2) - 주석가들 『논어』 읽기에 앞서 『논어』 독해에 필수적인 주석가들을 일별하는 게 순서다. 『논어』 텍스트의 성서(成書)와 해석사의 문제가 걸려 있어 몇몇 주석서는 기억해 두어야 한다. 대강을 훑어보기로 한다. 한나라까지의 논어 : 노논어, 제논어, 고논어 『논어』는 한나라 때 이미 판본이 세 가지였다. 송나라 때 사람 형병(邢昺, 932~1012)은 『논어집해』(論語集解)에 주석을 단 그의 책 『논어정의』(論語正義) 서문에서 한나라 때 『논어』를 전한 학파가 셋이 있다고 썼다. ‘노논어’(魯論語), ‘제논어’(齊論語), ‘고논어’(古論語)가 그것이다. ‘노논어’는 노나라에서 전승된 학파로 추정할 수 있는데 현재 우리가 보는 『논어』의 편차(編次)는 ‘노논어’를 따.. 2020. 10.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