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문류초7

별자리 서당의 마지막 별자리, 허수(虛宿)와 위수(危宿) 양기 퇴장, 음기 입장- 허수와 위수 벌써 일 년 며칠 전 한 연구실 학인 분이 내게 이런 말을 건냈다. “혈자리 서당, 본초 서당, 절기 서당이 있는 줄은 알고 있었는데, 근데... 별자리 서당도 있더라구...” 그렇다, 별자리서당...^^;; 작년 4월 연재를 시작해, 홀로 외로이, 꾸역꾸역, 격주 마다 원고를 뱉어 냈다. 그게 어느덧 28개. 어느덧 마지막 원고를 써야 할 시점이 왔다. 평소에 별에 관심이 있던 것도, 천문학에 기본적인 소양이 있던 것도 아닌 내가, 그저 꿈에 암시를 받았다는 이유로^^;; 시작한 연재였다. 매연과 공해로 뒤덮인 서울 하늘에서 잘 뵈도 않는 별을 짚어가며 하늘바라기 노릇을 해 본 것, 정말이지 남다른 경험이었다. 자정마다 남산의 으슥한 봉우리를 서성거리면서, 28수 .. 2013. 7. 25.
초여름 밤하늘에 불어닥치는 바람의 별, 기수(箕宿)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 기수 이야기 바람의 별 기수 오랜만에 시골집 얘기를 좀 해볼까 한다. 시골집 뒤에는 비탈밭들이 얼기설기 얽혀있는 너른 언덕이 있다. 뒷산 공동묘지로 향하는 상여가 지나던, 나뭇단을 짊어 메고 내려오는 나무꾼들이 지게를 내려놓고 한 숨 돌리던 언덕이었다. 그 언덕을 사람들은 “강신터”라 불렀다. 그 이름이 ‘신이 강림하는 곳’이란 뜻의 ‘강신(降神)’인지 알 길은 없으나, 그곳엔 늘 신의 숨소리 같은 높고도 가느다란 바람소리가 그치지 않았다. 소백산맥을 타고 넘나드는 바람이 대지를 휘감아 돌며 내는 소리였다. 강신의 언덕을 지키는 바람소리는 회한과 미련으로 뒤쳐지는 상여의 뒤를 떠밀어 주고, 나무꾼의 지겟단에 실린 삶의 무게를 거들어주곤 했다. 그 바람의 언덕에 작은 땅 한 뙤기를.. 2013. 5. 16.
명당에서 찾아내는 삶의 좌표! 밤하늘의 나침반, 방수(房宿) 천자의 집무실, 그러나 지하벙커는 아닌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하는 호랑이 이야기를 모두 알 것이다. 홀어머니 슬하의 가엾은 남매를 잡아먹으려다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호랑이 말이다. 이웃 잔칫집에서 뼛골 빠지게 일하고 돌아오던 애엄마를 잡아먹고, 저희들끼리 집 지키고 있는 어린 남매까지 노린 걸 보면, 이건 뭐 아주 철저하게 계획된 파렴치한 범행이라고 생각한다. 호랑이씩이나 되가지고선 애들 먹이려고 가져가던 떡까지 다 뺏어먹은 걸 보니, 죄질도 아주 낮은 편에 속한다. 아무리 동화라지만 저런 비열하고 극악무도한 악당들은 왜 늘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 앞에만 들이닥치는 것인지. 하지만 세상은 공평하다. 우리에겐 이야기의 대미를 장식할 동아줄 씬이 있지 않은가! 남매의 간절한 기도에.. 2013. 4. 4.
봄하늘에서 빛나는 조화의 저울, 묘월(卯月)의 별자리 우주의 축(軸) 맞춰라 -조율의 별 저성 이야기 음양이 조화되는 묘월의 별, 저성 하도 볕이 좋기에 간만에 산책길에 나섰다. 동면하던 짐승들이 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驚蟄). 여기 쓰인 ‘놀랄 경(驚)’자를 보시라! 그냥 잠에서 깨는 게 아니라, 우레 소리에 깜짝 놀라 후다닥 밖으로 튀어나오는 것이다. 용수철이 튀어 오르듯 약동하는 목(木)의 분출력! 죽은 듯 잠자던 만물이 뿅~하고 솟아오르는 때! 이것이 경칩 무렵의 풍경이다. 산책길에서 나는 과연 경칩다운 풍경과 마주했다. 대지는 아직 헐벗은 모습이지만 어디선가 물씬 봄의 기운이 전해져온다. 훈훈한 봄바람을 만끽하려는 인파들이 거리를 가득 메우고 있다. 하지만 이런 건 모두 서론 격에 불과했다. 산책길이 끝날 무렵 진정한 경칩의 주인공을 만났기 때문이.. 201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