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씨앗문장

혼자하는 자립? 가족과 함께 하는 자립!

by 북드라망 2016. 9. 7.

함께 하는 자립




내가 생각하는 자립에는 두 가지 조건이 있는데 하나는 돈이고 다른 하나는 집이다. 부모님 소유의 집을 떠나 나 혼자 사는 것, 그리고 그 생활비를 나 스스로 버는 것, 이 두 가지. 부모님께 손 벌리지 않고 혼자의 힘으로 이 모든 것을 해낼 수 있어야 한다고, 그것이 ‘성장’이고 자유롭고 독립적인 한 사람이 되는 조건이라고 생각했다. 그것이 효도라고 생각했다. 동생과 함께한 4년의 동거를 청산하고 혼자 살기 시작했을 때 나는 진정한 자립이 시작된다고 생각했다. 나름의 설렘과 화이팅으로 혼자 살기 시작했으나 3년 만에, 부모님과 떨어져 산 지 7년 만에 나는 부모님과 살림을 합쳤다.


작년 겨울인가 가을 어느 날이었다. 자정을 넘겨 모임이 끝나서 택시를 타고 집에 돌아왔다. 그리고 택시에서 내리자마자 내 핸드폰이 택시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얼른 소리를 지르고 손을 흔들며 쫓아갔지만 택시는 금세 큰길로 나가버린 후였다. 다행히 근처 슈퍼가 문을 닫지 않아서 양해를 구하고 내 전화기로 전화를 했다. 연달아 서너 통 전화를 했지만 아무도 전화를 받지 않았다. 아직 '다행'은 끝나지 않았다. 다행히 나는 방금 택시비를 카드로 결제했고, 카드 영수증이 있었다! 게다 택시는 개인택시였다. 카드로 택시비를 결제했을 경우 T머니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면 택시회사나 기사님의 번호를 알아낼 수 있다. 나는 몇 달 전에 이 서비스를 통해 핸드폰을 찾은 일이 있었고 이번에도 그렇게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맨날 떨어뜨리고 깨지고 잊어버리고... 이번에는 꼭 찾아줄께!



나는 투덜거리면서 집에 들어가 저금통 마개를 열어 주머니에 가득 동전을 넣고 PC로 ‘T머니 고객센터 전화번호’를 검색해 필기구와 함께 근처 공중전화로 갔다. ARS를 통해 결국 기사님의 번호를 알아냈고 전화를 걸었다. 사례금으로 얼마를 드려야 할까, 멀리 가지 않으셨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하며 전화를 걸었지만, 기사님은 결국 전화를 받지 않았다. 한 20통쯤 걸었던 것 같다.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다급한 마음이 들어 기사님께 문자를 남길 생각으로 집에 돌아왔다. 그런데 집에 돌아와 보니 이게 참 막막했다. 나는 혼자서 살고 당연히 유선전화는 없었다. 택시 기사님께 문자를 보낸다손 쳐도 회신을 받을 방법이 없었다. 카카오톡 생각이 나서 컴퓨터를 켜고 PC용 카카오톡을 받았다. 주말 저녁이니 어쩌면 깨어 있는 친구가 있을지도 몰랐다. 종종 밤새 일을 하는 한 친구 생각도 났다. 그에게 부탁해 그의 번호로 회신해달라고 부탁해야겠다 마음먹었다. 하지만 PC용 카카오톡은 설치할 때 최소 처음 한 번은 핸드폰으로 인증을 받아야 했다. 나는 핸드폰이 없어 카카오톡 인증 문자를 받을 수 없었다. 나는 좌절했다. 너무나 늦은 시간이었다. 번호를 안들 누구에게도 전화할 수 없었다. 보통 부모님 일이 늦게 끝나니 부탁을 드려볼까 싶었지만, 연락을 받은 기사님이 언제 다시 연락해올지 알 수 없었다. 누군가의 단잠을 깨울 정도로 핸드폰이 중요한지 나는 확신을 할 수가 없었다. 그때 나는 절실하게 같이 사는 누군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받기만 하는 존재, 스스로 무언가를 해내지 못하는 것에 대해 자립적이지 못하다고 생각했다. 모든 것을 혼자의 힘으로 해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모든 도움을 뿌리치고 혼자 해내는 것만이 자립인 것일까? 내 주변에 있는 것들로부터 떠나야만 자립할 수 있는 것일까? 생각해보니 도움을 받지 않고 살아가는 존재는 없었다. 자연을 보아도 그렇다. 씨앗과 물과 흙과 바람 등등, 이 모든 것들이 있기 때문에 나무가 자라날 수 있다. 아무것도 없는 무(無)에서 유(有)를 만들 수는 없는 것이다. 또 유(有)가 있기에 또 다른 유(有)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더군다나 배우는 입장에서 받지 않는 건 배우려는 태도가 아니었다. 내가 모르는 부분이나 내 힘으로 할 수 없는 부분은 도움을 요청하는 태도를 취해야 배울 수 있다. 이처럼 자립이란 모든 것을 떠나서 창조적인 만드는 것이 아닌, 내 주변의 것들에서 배우고 소화해서 새롭게 조합하는 것이지 않을까.

- 류시성·송혜경 외 13명의 청년백수, 『청년백수 자립에 관한 한 보고서』, 159쪽


겨우 회신받을 번호가 없어서 합가를 결심한 것이냐고 스스로 가끔 묻는다. 결국 나는 자립에 실패하고 퇴보한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가끔 든다. 쾌적하고 안락한 35평의 아파트에 있노라면 작고 초라한 집이었어도 혼자서 더 견뎌냈어야 한다는 생각도 가끔 든다. 7년 전 집을 떠날 당시 나는 백수였고, 부모님은 내가 잘하거나 좋아하는 일을 찾기 위해 시간을 들이는 걸 못마땅해했다. 내가 살아온 어떤 시절보다 나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치고 싶어 했다. (결혼이라던가, 결혼이라던가, 결혼이라던가) 그리고 나는 나대로 자격지심에 시달렸던 시절이었다. (이 나이 먹도록 빌붙어 살 수는 없어!) 나는 자유롭게 살기 위해 부모님의 집을 박차고 나왔다. (물론 보증금은 빌렸다^^;;) 그리고 떨어져 산 지 7년, 나는 부모님께 공식적으로 졌던 빚을 모두 갚았고 부모님도 더는 나에게 결혼을 강요하지 않는다. 지금은 같이 살면서 서로가 부모라고, 자식이라고 강요하고 요구하는 것을 조금씩 내려놓는 연습을 하고 있다. 그게 같이 사는 방법이라는 것을 나도 (아마도) 부모님도 알게 된 것 같다. 단지 각자 살던 우리가 할 수 있는 만큼, 잘하는 만큼 서로를 도와주며 함께 살기로 한 것이다. 이건 독립하기 전과는 전혀 다른 동거다. 거창하게 말하면 누군가에게 기생하지 않고, 서로가 서로를 도우며 사는 ‘집이라는 공간의 공생적 가치를 재발견’(187쪽)한 기분이랄까. 이러한 행복과 노력이 얼마나 갈지 모르겠다. 하지만 이런 게 같이 하는 자립이 아닐까 싶다.


결국 사람은 사람과 같이 살아야한다. 그것이 어떤 형태이고 어떤 방식인지는 각자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청년백수 자립에 관한 한 보고서 - 10점
류시성.송혜경.13인의 청년백수 지음/북드라망




댓글